본 연구는 남자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유아교육에서의 남자교사들의 존재성과 유아교사됨의 의미 및 이를 통한 유아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질적 연구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로 4년제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남학생 6명을 대상으로 면담과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로서 남학생들은 기대감으로 시작을 하였지만, 여성이 다수인 장에서 소수자로서 생활하면서 교사가 된다는 과정이 쉽지는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유아교육에서 남자교사의 위치에 대해 혼란을 겪기도 하였다. 하지만,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고 도전하는 기대감을 갖고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 더불어 유아교육 분야에서 남교사에 대한 관심과 논의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le pre-service teachers" meaning of becoming an early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conduct this narrative research, six male pre-service teachers in 4-year teacher education programs participated in doing interviews and writing journals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ale pre-service teachers are becoming a teacher through the expectation, experience as a minority, the confusion of their positioning, and the anticipation to the futu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ould discuss related to the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