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여이숙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저널정보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美術史學硏究 第275·276號
발행연도
2012.12
수록면
61 - 88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삼국시대 불교전래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주류로서 조성되는 八角圓堂形 僧塔 과 달리, 불교사상적 의의가 중요한 戒壇의 형식이 고려 말이라는 특정시기, 승려인 指空, 懶翁, 太古에 있어 分舍利의 원리와 맞물려 ‘戒壇形塔’으로 출현하는 것에 주목하여, 그 조성배경과 형태가 상징하는 바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계단형 승탑의 出現과 再現, 그리고 禪佛敎의 도입이 갖는 연관관계에 주목하여 논증하였다.
계단의 기원은 『關中創立戒壇圖經』의 텍스트를 인용하여 도상적 해석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계단은 佛舍利塔으로, 또, 수계의식을 통한 佛法의 傳承을 상징하는 戒壇으로서의 양면적 상징성을 지닌 조형물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계단은 반드시 方形 壇과 鐘形 塔身을 갖춘 구조여야 한다. 따라서 方形 壇과 石鐘形 塔身을 갖춘 戒壇形 僧塔 또한, 계단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하겠다.
조성배경은 고려 말 도입된 禪思想과, 禪宗法系圖를 통한 계단형 僧塔主의 佛敎史的 位相을 살 펴봄으로써, ‘見性成佛’의 선종사상과, ‘直指人心’에 의한 禪脈을 계승한 승려를 佛格으로 숭앙할 수 있다는 사상이 승려인 지공, 나옹, 태고에 있어 分舍利의 원리에 의해 ‘계단형탑’으로 출현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계단이 지닌 양면적 상징성을 승려의 탑에 적용시킴으로써 계단형탑 主의 법으로 하여금 한국선종의 法脈을 잇고자 한 門徒들의 조형관이 깃들어진 결과물로써 조성된 것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신륵사 普濟尊者塔을 계단과 비교분석하였고, 그 결과 보제존자탑은 계단에 기원을 둔 계단형탑이었다는 것과, 여기에서 도출된 결과와 舍那寺 圓證國師塔의 現狀, 기단부의 수치비교, 塔碑의 형태, 사나사의 寺歷, 삼층석탑의 위치문제를 토대로 사나사 원증국사탑 또한 그 원형은 계단의 단을 지닌 ‘계단형 승탑’이었을 것이라는 추론을 제시하였다. 이후 계단형 승탑이 재현되는 조선시대 海印寺 四溟堂塔을 중심으로 조성원리, 형태 및 크기를 살펴, 이 역시 고려 말과 같은 맥락으로 재현된 ‘계단형탑’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분사리에 의해 조성된 계단형 僧塔主의 僧名을 韓國禪宗法系 속에서 찾아냄으로써, 당시 시대상황속에서 ‘계단형탑’이 재현된 원인을 알아보았다.
즉, 계단형 승탑은 선종사상의 부흥과 그 궤를 같이 하여 ‘見性成佛’구현된 ‘覺者’에의 숭앙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조형물이자, 계단형 승탑 主로 하여금 한국 선종의 법계를 잇고자 한 문도들의 의지가 물리적인 실체로 드러난 상징적인 조형물이라고 하겠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계단형 승탑의 기원과 조성배경
Ⅲ. 계단형 승탑의 양식 고찰
Ⅳ. 계단형 승탑의 미술자적 의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5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600-00270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