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현중 (동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美術史學硏究 第279·280號
발행연도
2013.12
수록면
239 - 266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조선 후기 불화에 나타난 예적금강상은 중국이나 일본에서 전승되는 예적금강상과는 확연한 차별이 있으며, 『楞嚴經』과 『法術靈要門』을 바탕으로 조선의 독자적 도상으로 표현되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本稿는 예적금강상이 중국·일본과는 다른 과정으로 수용되고 다양하게 변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 후기 예적금강상의 嚆矢가 되는 한국미술박물관本은 『法術靈要門』의 성격뿐만 아니라 『楞嚴經』에서 불의 성격을 강조한 火頭金剛까지 포함한 다각적인 성격의 예적금강 신앙이 바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도상적으로는 佛巖寺版 『釋氏源流應化事跡』을 통해 중국에서 전승되던 예적금강의 자세를 수용하고, 전통적인 多臂像인 천수관음의 지물에 영향을 받았다. 아울러 수화사 印潭이 일본불교를 접했던 점은 당시로는 매우 드문 일로 한국미술박물관本이 일본 천수관음상의 玉環 지물에 영향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한국미술박물관本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한 도상의 수용양상이 이후의 모든 작품에 적용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도상의 변용이 나타나는 조선 후기 예적금강상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들을 통해 그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海印寺本의 예적금강상은 같은 지역에서 전승되던 대자재천 도상의 일부를 수용하고 『楞嚴經』을 바탕으로 조선의 독자적 도상으로 변용되었다.
둘째 奉印寺本은 의식집인 福住庵本 『要集』에서 묘사하고 있는 도상적 특징을 시각화 하였다.
셋째 龍株寺本은 전통적인 예적금강의 도상과 달리 공포스런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이와 같은 표현은 1873년 중국의 金陵刻經處에서 인쇄한 예적금강 도상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는 竺衍의 적극적인 외래도상 수용에 따른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결과 조선 후기 예적금강상의 가장 큰 특징은 불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존상이라는 것이다. 특히 海印寺本의 예적금강상처럼 左·右面에서 불꽃을 내뿜는 표현은 중국·일본의 예적금강상과 다른 조선 후기 예적금강상의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같은 배경에는 臨濟宗風을 지향하여 『楞嚴經』을 중시한 조선 후기 불교의 특수성이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예적금강의 정의와 경전적 근거
Ⅲ. 조선 후기 예적금강 도상의 自國化 과정
Ⅳ. 조선 후기 예적금강 도상의 다양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56)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600-002745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