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병수 (전주대학교) 정철모 (전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환경학회 주거환경 住居環境 통권 제11권 제2호 (통권 제21호)
발행연도
2013.6
수록면
79 - 92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Housing value plays an important role when it comes to selecting residential area for multi-family housing dwellers in general residential area.
This study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 into parking environment, convenience, surrounding environment, educational district,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aims to confirm whether they have correlations with housing value as the precedence factor. Furthermore, it also aims to identify correlations of housing value with trust in residential area and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 of dwell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Convenienc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conomic feasibility among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ousing value. Housing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residential area and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 and trust in residential area has an effect on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5)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590-002805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