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요지
Ⅰ. 서론
Ⅱ. 방법론: 종교중립적 헌법해석론의 요청
Ⅲ. 의사조력사의 개념과 범위
Ⅳ. 생을 마감할 권리의 헌법적 근거
Ⅴ. 생을 마감할 권리의 법적 성격
Ⅵ. 생을 마감할 권리의 제한
Ⅶ. 생을 마감할 권리의 실현 경로와 헌법적 평가
Ⅷ.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
[1] 환자가 의사 또는 의료기관(이하 `의료인’이라 한다)에게 진료를 의뢰하고 의료인이 그 요청에 응하여 치료행위를 개시하는 경우에 의료인과 환자 사이에는 의료계약이 성립된다. 의료계약에 따라 의료인은 질병의 치료 등을 위하여 모든 의료지식과 의료기술을 동원하여 환자를 진찰하고 치료할 의무를 부담하며 이에 대하여 환자 측은 보수를 지급할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1. 8. 30. 선고 2009헌바42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조항이 불법 취득한 타인간의 대화내용을 공개한 자를 처벌함에 있어 형법 제20조(정당행위)의 일반적 위법성조각사유에 관한 규정을 적정하게 해석 적용함으로써 공개자의 표현의 자유도 적절히 보장될 수 있는 이상, 이 사건 법률조항에 형법상의 명예훼손죄와 같은 위법성조각사유에 관한 특별규정을 두지 아니하였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89. 3. 17. 선고 88헌마1 全員裁判部
가. 입법행위(立法行爲)의 소구청구권(訴求請求權)은 원칙적으로 인정될 수 없고 다만 헌법(憲法)에서 기본권보장(基本權保障)을 위하여 법령(法令)에 명시적(明示的)인 입법위임(立法委任)을 하였을 때, 그리고 헌법해석상(憲法解釋上) 특정인에게 구체적인 기본권(基本權)이 생겨 이를 보장(保障)하기 위한 국가의 행위의무(行爲義務) 내지 보호의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09. 2. 10. 선고 2008나116869 판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0. 2. 25. 선고 2008헌가23 전원재판부
가. 가석방의 요건에 관한 규정은 사법부에 의하여 형이 선고·확정된 이후의 집행에 관한 문제일 뿐 이 사건 당해 재판 단계에서 문제될 이유는 없고, 달리 위 규정이 당해 사건에 적용될 법률조항임을 인정할 자료를 찾아 볼 수 없으므로, 이 사건 위헌제청 중 형법 제72조 제1항 중 `무기징역’ 부분은 재판의 전제성이 없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9. 11. 26. 선고 2008헌마385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심판대상인 `공권력의 불행사’라는 것은 `연명치료 중단 등에 관한 법률의 입법부작위’인바, 위 입법부작위(또는 입법의무의 이행에 따른 입법행위)의 직접적인 상대방은 연명치료 중단으로 사망에 이르는 환자이고, 그 자녀들은 위 입법부작위로 말미암아 `환자가 무의미한 연명치료로 자연스런 죽음을 뒤로한 채 병상에 누어있는 모습’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의사조력사 관련 법률안 검토 및 의사조력사 도입을 위한 법적 과제
아주법학
2024 .08
의사조력사의 정당화 논거로서 심신(心身)온전성의 권리
세계헌법연구
2022 .04
조력존엄사법안에 대한 헌법적 검토
서강법률논총
2023 .02
마감을 마감하며
커피앤티 coffeeandtea
2024 .12
헌법상 기본권 보장체계의 개방성에 관한 小考 ―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의 헌법적 보장의 측면에서 ―
세계헌법연구
2015 .01
헌법개정과 사회적 기본권
법학연구
2018 .08
헌법이론과 헌법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5 .12
헌법은 죄가 없다
관훈저널
2025 .03
100년의 헌법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2019 .01
인도 헌법 제21조의 법률해석 변화와 적용확대
인도연구
2016 .11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법과 정책연구
2018 .01
죽음, 안락사, 생애마무리에 관한 헌법적 논의 ― ‘생애마무리 지원 법안’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연구
2019 .12
헌법상 교육을 받을 권리에 대한 고찰
성균관법학
2023 .03
‘죽을 권리’와 생명정치 : 생명의 종결을 둘러싼 법담론 분석의 한 예
법학연구
2020 .05
알 권리의 의의에 관한 학설과 판례의 검토
법학연구
2016 .11
근로의 권리
민주법학
2020 .01
미국에 있어 ‘살아있는 헌법’ 논의에 관한 소고
헌법논총
2016 .11
생명의료 영역에서 ‘모를 권리’의 개념과 헌법적 근거
법학논집
2023 .06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헌법적 고찰
헌법학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