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6권 제2호
발행연도
2005.4
수록면
19 - 25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call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unit plans as to the outdoor adjacency methods. My arguments will attempt to investigate spatial composition and each room sizes of the unit plans. So far, very little has been done in this direction. I will limits myself to study 573 plans which have been designed from 1996 till 2003. What emerges from this analysis is that these samples divided 3 types derived from the outdoor adjacency methods. Type 1 limits itself to 39 square meters unit plans. Type 2 was distributed from 49 square meters to 200 square meters with the exception of 100-110 square meters. And, type 3 ranges from 59 to 160 square meters. Therefore, it could be profitable each room's environmental condition (daylight, ventilation and etc) and diverse apartment building types to design in extent 49-160 square meters.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95-002605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