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 제기
2. 논의의 배경
3. 연구 대상과 연구 절차
4. 신생공간 주체들의 생활 경험과 예술 실천
5. 맺음말
참고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생 예술 창작 · 전시 공간의 대안적 실천 : 서울의 사례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06
르페브르(H. Lefebvre) 공간론의 교육적 적용: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2016 .01
Lefebvre의 공간이론에 근거한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가능성 탐색 : 임대아파트단지 차이공간 생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2017 .11
안전한 치료공간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이야기: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으로
미술치료연구
2019 .01
공간 경험 중심 미술교과 공간교육의 필요성: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
2024 .07
순수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 박사 과정생의 미술작업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미술치료연구
2022 .04
도시 공간, 일상, 미술에서의 시간성을 중심으로 사회참여 미술의 교육실천적 의미 고찰
교원교육
2018 .01
미술교육에서 통합성의 의미와 원리에 관한 인식론적·인지과학적 탐구 - 미술적 지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연구논총
2017 .08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술교육에서 관계 미술의 의의와 실천 방안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01
소녀상 지키기 춤 공연의 예술정치: 차이/차-등의 공간생산을 위한 실천전략
문화와 정치
2019 .06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 연구: 미술가의 삶과 미술작품의 관계 탐색을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
2020 .10
앙리 르페브르 공간생산론에 기반한 무용교육공간 연구
성인계속교육연구
2017 .08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을 위한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 설계-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한 미술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01
학교 밖 미적경험 중심 공간 구축의 의미 - 경기학교예술창작소를 중심으로 -
교원교육
2020 .01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사유와 유아교육에의 함의
유아교육학논집
2020 .10
문화생산 장의 자율성 : 한국 독립영화의 경우
문화와 사회
2017 .04
미술교육에서 우리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미술과 교육
2017 .04
예술작품의 사회적 수용과정에서 정부 개입과 예술계의 집합적 행위에 관한 연구: 중국 85 미술운동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경영학연구
2024 .04
신생기업 감소와 거시경제적 영향
[BOK] 조사통계월보
2020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