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새로운 기계시대의 도래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Ⅲ.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의 문제
Ⅳ. 포스트휴먼을 위한 교육의 단초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 지위에 대한 고찰
환경철학
2017 .06
포스트 휴먼 시대의 크리스천 다음 세대를 위한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
기독교교육정보
2023 .06
한낙원 과학소설에 나타난 휴먼과 비-휴먼의 상상력 - 1960년대『우주벌레 오메가호』를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23 .12
인공지능 시대에 디지털휴머니즘의 인간학적 의미 - 디지털 휴먼을 중심으로 -
윤리연구
2024 .03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철학논총
2018 .10
포스트휴먼 사회에서의 인간존엄의 문제
통일인문학
2022 .06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사회정의론: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윤리연구
2018 .01
인공지능 시대, 포스트 휴먼적 상상력과 인간 탐구 - 김영하의 『작별인사』와 이혁진의 『단단하고 녹슬지 않는』을 중심으로 -
어문론집
2025 .03
포스트휴먼 조건 또는 인간의 조건
인문과학
2017 .01
포스트휴머니즘과 과학기술 윤리의 문제 -스피노자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17 .01
포스트휴먼 시대의 도래: 감각의 확장인가 퇴보인가?
기독교교육정보
2022 .06
한국문학이 그린 똥의 얼굴(2)- 『분례기』 재론-
사이間SAI
2022 .11
한국 SF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의 자유의지와 젠더 수행성
국제언어문학
2022 .12
인간적 취약함의 의미 - 인간 강화 시대의 인간
가톨릭철학
2019 .01
포스트휴먼 시대에서의 인간성과 기술의 관계 변화와 기독교 사회윤리적 책임에 관한 논의 - 포스트휴머니즘 사상들의 비판과 헤프너의 “하나님의 형상론”을 중심으로
기독교사회윤리
2021 .01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인간됨과 인간다움의 조건에 관한 단상: 포스트휴머니즘 인간론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답변
조직신학연구
2021 .01
트랜스휴머니즘, 이상인가 신화인가 : ‘능력증강 기술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서’
현대유럽철학연구
2019 .01
‘트랜스 휴머니즘과 인간 양식의 변화에 나타난 윤리적 문제들’ -인공지능시대에 삶의 미정성과 유한성이 주는 가치-
한국개혁신학
2017 .05
포스트 휴머니즘 담론과 미래 교육의 방향 탐색
인간연구
2022 .12
포스트휴먼 시대와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의 교양교육 방향
신학과 복음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