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I. 머리말
Ⅱ. 라로슈자클랭 후작부인이 본 브르타뉴의 농민들
Ⅲ. 장 코트로 형제의 순교 : “국왕과 종교를 위하여”
Ⅳ. 망명귀족에서 슈앙으로 : 클로드 오귀스탱 테르시에
Ⅴ. 불굴의 전사 조르주 카두달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프랑스혁명사의 “전지구적 전환”: 혁명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사학사적 고찰
서양사연구
2016 .01
한나 아렌트와 프랑스혁명
역사와 담론
2016 .10
한국형 리버럴 아츠 컬리지와 리버럴 에듀케이션의 방향 -대구대학교 S-LAC의 특징과 미래 비전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18 .12
역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혁명’ 서사의 변화
인문논총
2018 .01
1910년대의 ‘혁명’ ㅡ 3·1운동 전야의 개념과 용법을 중심으로 ㅡ
개념과 소통
2015 .01
산업혁명을 바라보는 인문학의 눈
현대유럽철학연구
2017 .07
푸코와 68혁명 : 사건이 아닌 경험, 신화가 아닌 비판으로서의 혁명
사회와 철학
2018 .10
새로운 문필공화국을 향하여 : 18세기 프랑스사 연구와 디지털인문학의 사례들
역사학보
2018 .12
서기원의 『혁명』과 1960년대의 르상티망
어문학
2018 .09
버크와 페인 - 프랑스혁명에 대한 엇갈린 예언
역사와 담론
2018 .07
프랑스혁명에 의한 스코틀랜드인의 정치의식과 여론 대립구도의 변화
대구사학
2021 .08
샬럿 스미스의 『장원의 고저택』과 로맨스의 변증법
19세기 영어권 문학
2025 .03
독일과 프랑스 68혁명의 결정적 사건과 5월의 폭발
역사학보
2018 .06
4차 산업혁명시대 콘텐츠와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
2019 .03
러시아 혁명과 중국공산당의 자기개조의 길 :反볼셰비키화를 넘어서
한중관계연구
2018 .01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 논총
2017 .01
프랑스 혁명과 민주주의
역사와 세계
2019 .06
문화대혁명, 진보인가 반동인가? - 베이징 초기 홍위병 운동의 쟁점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
2022 .03
‘세계 프랑스어’ 연구: 프랑스어 지역 변이어의 새로운 범주화를 위한 시론
인문언어
2023 .06
미슐레의 공화주의 프랑스혁명사
역사와 담론
2019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