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성장소설의 나라
시민 형성의 소사(小史): 국민 속에 증발된 시민
시민사회의 미시적 기초: 우리에겐 무엇이 필요한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의 시민사회와 시민사회론
지식의 지평
2016 .05
시민 되기와 시민 만들기_21세기 주체 형성을 위한 신기획
지식의 지평
2016 .05
표준시민 : 민주화 이후의 역동적 시민
자음과모음
2018 .09
유럽 시민과 시민사회 : 하나의 환상 또는 우리의 거울?
지식의 지평
2016 .05
동북아시아 지역 시민성 형성 방안
윤리연구
2017 .01
코로나 시대의 시민사회
철학과 현실
2020 .09
시민사회의 이중성과 해방의 조건 - 헤겔 시민사회론과 새로운 규범성 모색
헤겔연구
2021 .01
일상적 시민 공간으로서의 자발적 시민 결사체: 일본의 글로벌 마치즈쿠리 프로젝트와 시민참여 경험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021 .01
근대 미국의 의료 시민권과 비시민의 의료 권리
HOMO MIGRANS
2019 .11
세계시민의 철학
철학과 현실
2019 .12
우리 사회에 나타난 여성의 시민의식과 시민운동의 여성화 : 여성적 시민권에서 여성주의적 시민권으로
지식의 지평
2016 .05
디지털 시민성 : 개념, 이론, 전략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2023 .12
국민도 민중도 아닌 ‘시민’들의 투쟁
황해문화
2025 .03
21세기 민주시민교육과 철학의 기여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교육 담론과 연계해서
동서철학연구
2020 .01
아렌트의 시민개념과 대학의 민주시민교육
동서철학연구
2021 .09
시민성에 대한 한국 개신교의 이해 분석과 기독교사회윤리적 답변
기독교사회윤리
2020 .01
디지털 시대,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디지털 시민권을 어린이에게
창비어린이
2022 .12
`형성적 기획`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방향과 초점
한국학논집
2017 .06
[시민햇빛발전] “우리 집 에너지 자립률 볼 텨?” _ 시민이 주도하는 에너지 전환
월간 옥이네
2024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