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2. 조선초기 『주자가례』에 나타난 친영의 의미
3. 조선중 · 후기 자료에 나타난 친영 정착의 노력과 우귀의 실행
4. 근대시기 서울에 나타난 우귀 · 친영의 조화와 시가살이 혼속의 정착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시기 혼례문화 변동 연구
여성과역사
2016 .01
경북 지역의 근대 혼례의 변화 -이중구가 5대 고문서를 중심으로-
동양학
2023 .04
혼례에서 남녀위치의 변천 : 전근대기와 근대기의 혼례식을 중심으로
민속연구
2018 .08
조선왕실 혼례의 사례와 그 의미
동국사학
2021 .08
조선 중ㆍ후기 사대부의 혼례방식 : 新俗禮ㆍ半親迎ㆍ假館親迎의 시행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15 .06
전통혼례에 나타난 고유성과 외래성 : 퇴계 <혼례홀기>와 주자가례의 비교
국학연구
2015 .04
혼례의 양상과 절차 고찰
차문화산업학
2018 .01
부계외혼제사회에서 주자가례의 수용에 의한 혼례의 지속과 변용
한국사상과 문화
2016 .01
17세기 경상도 사족의 혼례 방식
한국사상사학
2017 .01
20세기 경남 지역의 혼례문화와 혼례물목
복식문화연구
2017 .01
19세기 말 혼구(婚具) 자료에 나타난 사대부 혼례문화의 특징
여성과역사
2022 .12
불교 혼례의 형성과 사상적 배경
불교문예연구
2024 .06
키르기스스탄 영화 <신부납치(Похищение невесты)> 연구
슬라브학보
2023 .12
조선인의 만주 이주 정책과 ‘대륙신부’
여성과역사
2020 .12
중국 소수민족의 빙례제도 비교연구
동아인문학
2015 .12
Korean Pioneer Women: Picture Brides and the Formation of Upwardly Mobile Korean Families in California, 1910s-1930s
Korea Journal
2020 .03
문학에 나타난 한일 고중세의 혼인제와 여성 연구
한일관계사연구
2022 .11
조선시대 왕세자 혼례의 절차와 의미 - 1882년 왕세자 嘉禮를 중심으로-
古文書硏究
2016 .01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QOL) 도농간 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
2016 .01
한국의 ‘신랑다루기’와 터키의 ‘예띠(Yeddi)’ : 그 전쟁과 융합의 상징적 양식
한국학논집
201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