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서효원 (서울대) 전봉희 (서울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3卷 第7號 (通卷 第345號)
발행연도
2017.7
수록면
91 - 100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ystem and process of the repair work of Daeungjeon, the maintemple of Gesim-sa,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For this purpose, the official documents produced by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were analyzed. The documents, including the repair work of Gesim-sa Daeungjeon, provide clues for acknowledging the circumstances of repair works during the late colonial era. The Bureau of Education(學務局)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had the right of final decision, leading the whole repair process, and controled Gesim-sa’s properties on pretense of repair subsidies. Meanwhile, the Bureau’s conservation activity had declined rapidly during World war Ⅱ. Therefore, the Gesim-sa ha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pair work with Japanese technicians to urge the Bureau to continue the repair work.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일제강점기 보물 건조물 수리공사의 전개
3. 수리공사의 결정과 학무국의 통제
4. 전시체제하 수리 공사의 진행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540-001055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