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표지 & 목차]
[요약]
[Ⅰ. 혼인과 출산]
모든 연령대에 걸쳐 자녀가치는 여전히 결혼가치와 직결
남녀 간 결혼 및 자녀에 대한 인식이 차이가 큼
대부분 시군에서 혼인과 자녀에 대한 인식의 동조화 현상이 나타남
경기도민이 생각하는 남녀 결혼적령기는 각각 31.26세, 28.44세
연령대별로 남녀 결혼적령기의 차이가 존재
적당자녀수는 1명 27.6%, 2명 62.9%, 3명 이상 9.5%으로 평균 1.82명
경기도민은 여성의 가장 좋은 첫아이 출산연령을 28.5세로 인식
경기도민은 막내아이 출산이 가능한 연령을 평균 37.4세로 인식
미혼 남성의 향후 결혼의향은 71%에 달하지만 여성은 60%에 불과
[Ⅱ. 1인 가구]
가족과 떨어져 1인 가구로 분가한 주된 이유는 직장구직과 사별
성별, 결혼지위별 혼자 살게 된 이유의 차이가 존재
남성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는 남성 전체 평균에 비해 낮은 편
[Ⅲ. 시사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결혼가치와 자녀가치 간의 뚜렷한 동조화 현상
가족과 떨어져 사는 1인 가구는 주로 직장문제, 사별로 인해 형성
[부록 : 일러두기]
[부록 : 조사개요]
[지역별 결혼과 자녀에 대한 인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과 중국의 인구정책 변화와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가치관 비교연구
[KIEP] 중국종합연구 총서
2019 .02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2016 .12
경기도 청년들의 결혼 및 출산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감성분석과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GRI 연구논총
2022 .08
가구 형태별 주거빈곤 특성 비교분석: 결혼과 출산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19 .10
여성의 결혼과 출산 회피 및 의향특성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2021 .10
경상남도 청년의 결혼과 출산 인식
경남발전
2018 .01
지역의 주택가격이 초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16 .11
경북 결혼·출산정책 분석 및 정책 과제
연구보고서
2021 .12
경상북도 청년의 결혼·출산 인식 및 지원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4 .12
저출산과 결혼 · 출산 가치관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1 .02
청년의 결혼 및 가족관과 양육관 유형이 결혼 및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이용하여
사회복지연구
2024 .03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2017 .01
결혼 인식도, 첫째 자녀 연령, 공동 양육 및 가사노동이 둘째 자녀 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2015 .09
여군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
2019 .01
부부의 결혼 안정성 및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상담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08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2020 .01
출산 양상 변화에 대한 코호트별 분석
여성경제연구
2019 .01
종교가 결혼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2022 .07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 관계
한국공공관리학보
2016 .09
미혼남녀의 결혼지연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2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