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와 □에 대한 諸學說
3. “葬“과 “死“의 차이 및 □와 □에 대한 新釋
4.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갑골문에 나타난 “눈(目)”을 字素로 하는 글자의 상징성 연구
중국문학연구
2015 .01
甲骨文“□” (直)、“□” (今登) 新釋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19 .11
甲骨文 字形에 대한 分類와 分析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甲骨文 部首字에 나타난 表意 特徵 分析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1
Initial research on Tasan Jeong Yak-Yong’s attitude of Zhu Xi’s learning through his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an classics: The case of Daxue Gongyi(大學公議)
다산학
2017 .01
전통 시기 중국 문인의 관계 지향 -≪夢占逸旨・科甲篇≫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
2018 .01
甲骨文 (直)과 (德)에 대한 小考
중국어문학지
2021 .01
갑을 관계
숙명문학
2016 .11
다섯 글자
수필미학
2019 .12
漢字文化學을 통하여 본 漢字 字形의 의미 고찰
중국문화연구
2017 .02
미국의 갑질, 더이상은 안 된다
황해문화
2019 .09
오키나와의 묘제의 변화와 현대적 수용 - 오키나와 본도를 중심으로 -
일본문화연구
2021 .04
四柱의 기원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 고대의 天文觀과 甲骨文의 干支를 중심으로
중국학
2017 .01
19세기 중국어 書面語 교재 《文件自邇集》에 나타난 중국어 문법 고찰 : 《文件字句入門》과 《文件自邇集 · 注釋》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동아인문학
2019 .03
甲骨文 ‘’과 ‘’ 두 글자에 대한 새로운 考釋
중국언어연구
2018 .01
十 天干의 文字學的 考察
한국사상과 문화
2015 .01
探析商周奴???古文字的造字理据?文化意? ― 以尾、?、奚、?、羌?例
중국학
2021 .01
朝鮮 文人의 六甲詩 受用 및 變奏 양상
온지논총
2018 .01
大崗昇平『武藏野夫人』論 : 舞臺の地理學的觧釋を中心として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8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