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단둥에 대한 이해를 막는 장벽들
Ⅲ.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경의 다중성 개념을 통해 본 아세안지역경제협력의 국경자유화 정책: 태국 북부 치앙라이(Chiang Rai) 국경교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019 .01
단둥-신의주의 초국경적 장소 형성과 확대
도시인문학연구
2019 .01
북한의 경계·국경 인식과 북·중 접경지역 경비(1945~1947) - 국경경비대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개발, 일상적 이동, 비즈니스 연대를 통해 본 국경도시 치앙라이의 관계적 도시화
한국문화인류학
2020 .01
“소프트 변경” 시각으로 단동-신의주 초국경 도시 발전에 대한 새로운 접근
중국학
2017 .01
아세안지역시장의 출현과 국경교역 장(field)의 재편 : 태국 북부 치앙라이(Chiang Rai) 국경상인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과 교역 실천 전략 분화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018 .08
반(反)중국정서와 중러 접경도시: 우수리스크, 수이펀허, 훈춘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018 .01
경계/국경과 국가 인식의 문제
역사연구
2019 .06
초국적 경제 교류와 동북아 정치의 역학 : 북·중 접경 도시 단둥의 사례
중국지식네트워크
2021 .11
‘국경’에서 본 5~7세기 삼국의 전쟁 -築城과 戰鬪로 그어진 경계-
백산학보
2020 .01
中國과 北韓의 國境 管理實態 -1950~1960年代를 中心으로-
중국사연구
2017 .01
Made in Border
제3시대
2018 .06
차용구, 『국경의 역사 - 국경 경관론적 접근』 (소명출판, 2022), 253pp.
서양사론
2022 .06
1985년 ‘조-소 국경조약’ 분석
동아연구
2017 .08
일제 강점기 安東을 통한 조선인의 이주와 기억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04
식민지 조선 후기 국경기행 연구― 《관광조선(?光朝鮮)》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1 .08
환동해 초국경 개발협력과 해항도시의 관계 :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자루비노항 비교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8 .04
The Effect of North Korea’s Foreign Trade on Economic Growth
유라시아연구
2018 .01
한국 유튜브 영상의 북한 이미지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2024 .08
1880년대 국경회담에서 발견한간도문제의 ‘불편한’ 진실[서평] 김형종(2018), 1880년대 조선-청 공동감계와국경회담의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88쪽.
인문논총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