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寫實的 表現과 史實의 整合性 檢討
Ⅲ. 歷史的 脈絡과 物質資料
Ⅳ. 맺음말 - 자료의 한계와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omb Murals of Kor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06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세계관과 생사관
역사학보
2018 .12
고구려인의 미의식과 고분벽화
고구려발해연구
2017 .11
고구려 복식문화 연구론
한국사연구
2015 .09
고구려 안악3호분의 음식문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6 .01
옥도리벽화분으로 본 고구려의 지역문화
역사와현실
2018 .12
고구려 고분과 몸의 유교화 다시 보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3 .12
중국 소재 고구려 고분 전개의 역사적 의미
동북아역사논총
2024 .06
고구려 고분벽화의 鎭墓者
역사와 세계
2018 .12
고구려 고분벽화 공포도 형식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6 .01
한반도 중부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고고학적 함의
한국상고사학보
2023 .05
덕흥리벽화고분의 ‘觀者’묵서와 ‘觀覽者’
한국고대사연구
2021 .03
고구려 고분벽화와 북방․유라시아미술 연구성과와 과제
인문과학연구
2020 .01
암각화와 고분벽화로 본 한국 고대 미술의 전개 과정
역사와현실
2020 .12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디지털 고구려박물관 전시
역사문화연구
2023 .05
2007년 이후 중국의 고구려 종교 · 사상사 연구 동향
고구려발해연구
2017 .03
고구려 오회분4호묘 연구
역사와경계
2021 .12
중국 明?淸代 고분벽화의 墓主圖
사림
2021 .10
고구려 장천1호분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2015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