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과 일본 지역방송 여성 아나운서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11
TV 뉴스 아나운서의 발화 특성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9 .11
TV뉴스 아나운서의 음도, 음도 범위, 말속도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2021 .07
TV 오락 프로그램 아나운서 진행자에 대한 시청자 TV 오락 프로그램 아나운서 진행자에 대한 시청자 : 시청자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2015 .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Female Announcers in Korea and China : Comparing the Status of Female Announcers in Korea and China with a Focus on Job Characteristics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2015 .06
저널리스트 브랜드, 어떻게 강화할까_‘현장’ 지키는 저널리스트의 길 택한 그들
신문과방송
2020 .03
[이성화 최초 상업방송 여성 아나운서] 그녀의 방송은 63년째 ‘온 에어’
브라보 마이 라이프
2022 .03
프리랜서 아나운서 ‘근로자성’ 인정 첫 대법원 판결 나와
한경BUSINESS
2024 .01
中 방송산업의 메타버스 시장 진출 동향 - 가상아나운서, 디지털 소장품, VR/AR 분야에 관심 보여 -
해외방송정보
2023 .01
연대와 공감 끌어내는 게 저널리스트의 일이다
관훈저널
2024 .09
[광복 70년, 방송기자 탄생 70년 기획 시리즈 ⑮] 1960년대 민영방송 출범 후 기자 전직 증가 : 아나운서에서 방송기자가 된 인물들
신문과방송
2016 .03
슈퍼 저널리스트 등장할까?
관훈저널
2017 .06
공영방송의 공정성 실현 과정에서 저널리스트 개인과 관련 조직 간의 상호역학관계에 대한 고찰
언론정보연구
2021 .08
저널리즘을 성찰하는 공론장의 생성 조건 : 저널리즘을 관찰하는 수용자, 투명성을 실천하는 저널리스트
언론과 사회
2023 .11
[광복 70년, 방송기자 탄생 70년 기획 시리즈⑧] 방송 최초 여성 기자 김지자_1960년대 유일한 방송계 여성 저널리스트
신문과방송
2015 .08
텔레비전 뉴스에서 팩트체크 코너가 미디어 신뢰에 미치는 영향 : 정보 유용성의 매개 효과
언론정보연구
2019 .11
저널리스트, 변명 아닌 증명을
방송문화
2019 .09
뉴스의 데이터화와 저널리즘 실천 : 충돌 혹은 괴리
언론과 사회
2022 .02
최근 10년 한국 저널리스트의 인식_언론 위기 속 만족도 낮고 응답자 60% 이직 고민
신문과방송
2018 .02
한국 여성 기자/저널리스트의 전쟁 취재 경험에 대한 연구: 걸프전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미디어, 젠더 & 문화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