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한국의 저출산 문제 및 연구동향
3. 결혼여성과 출산간의 상관성 연구
4. 결혼 여성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역 고용이 결혼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의 성별 차이 - 결혼·출산의 패널티에 대한 함의
페미니즘 연구
2024 .10
일본과 싱가포르의 저출산 문제의 해결방법과 한국에의 시사점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7 .11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6 .01
출산결정요인의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 선호와 인적 구성의 변화
아시아여성연구
2016 .11
출산지원금이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동향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23 .06
대학생의 주거인식이 결혼과 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2023 .06
기혼취업여성의 출산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9 .01
어떤 가족의례가 살아남는가: 결혼·출산 의례의 세대 비교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23 .06
성평등관점의 출산율 반등국가 사례연구 - 스웨덴, 독일, 프랑스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24 .10
중국의 계획생육 초창기 여성의 자기결정권 담론의 형성: 1950년대 후반 『중국부녀(中國婦女)』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21 .03
결혼이 출산의 옵션이 될 순 없을까
여성우리
2021 .04
기혼여성의 출산 및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문화와융합
2022 .07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 간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2017 .01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7 .10
2, 30대 비혼 여성의 결혼 전망과 의미 : 학력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5 .12
출산의향은 실제 출산과 얼마나 일치하는가? 기혼여성의 추가 출산의향 및 실제 출산의 종단분석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22 .05
출산과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를 활용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 .10
출산은 개인 선택, 출산할 수 있는 환경조성 우선
여성우리
2015 .06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이 추가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2 .0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COVID-19 대유행이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OECD 국가 간 비교를 중심으로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2023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