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예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고찰
3. ‘예술의 자율성’ 개념 대한 고찰
4. ‘문예적 공론장’ 성립의 제(諸)조건에 대한 논의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상상력과 이해로 소통하기
철학탐구
2024 .05
공론장·의사소통행위 이론에 비추어 본 아카이브 플랫폼 기반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개념과 방법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24 .08
예술 공론장, 공중 그리고 예술대중
철학논총
2016 .07
1980년대 기독교 공론장의 공통적 가치와 공공성 ― 목요 예배와 교양 강좌회를 중심으로
신학사상
2021 .01
한국 근대 공론장과 개인의 문제
사회와 철학
2015 .10
다문화시대의 공론장과 의사소통 -셀라 벤하비브의 심의민주주의와 아이리스 영의 소통민주주의를 중심으로-
철학∙사상∙문화
2020 .01
교실 공론장을 강화하기 위한 교실 토론 수업 시론
화법연구
2024 .08
일상생활의 공공성 : 공공예술을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2018 .10
신문의 발명 ― 17세기 독일 초창기 신문의 등장배경과 특징에 대한 고찰 ―
사림
2015 .01
적대와 대립의 온라인 세상을 향한 선교적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유튜브 공론장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2022 .10
민주주의 실천과정으로서 공론장 작동과 글쓰기 교육 : 시사다큐를 활용한 시사평론 쓰기 교육 과정 사례
수사학
2015 .09
해방 이후 공론장의 변화와 문학의 형식
현대소설연구
2016 .03
한국 언론의 신뢰성 문제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대안 모색
기독교사회윤리
2015 .01
百濟의 정치적 추이와 榮山江 유역 정치세력의 동향 -文周王代-聖王代를 중심으로-
국학연구론총
2021 .12
러시아 인터넷 공간의 특성 : 공론장인가 공명실인가
슬라브학보
2015 .03
갑오개혁 당시 言官機關 해체와 그 기능의 계승
사림
2020 .01
근대문학의 성립과 감정론, 미학의 의의 :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사회적 상상, 공론장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6 .03
인문학 교육에서 예술표현과 합리적 의사소통
철학연구
2019 .08
In Search of the Right to Think and Speak Freely: Cultural Landscape of Public Sphere in an Era of Transition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5 .06
윌리엄 새커리의 『허영의 시장』: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
영미어문학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