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주형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통권 제126호)
발행연도
2018.2
수록면
48 - 57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cosmetic shops are facing a complicate economy situation and a great number of brands are attempting two-way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not one-way communication. "Brand" equity is important to deliver virtual brand mark as visual image. We have 4 steps for brand identity structure, and this study is about the first ‘brand-awareness’ and the second step ‘brand-image’.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brand-awareness and brand-image after searching which spatial elements are highly effective to both steps as we designated 5 cosmetic shops. We already organized the means of spatial analysis and we separated into two elements, constructive and decorative. For constructive element, a shop needs a distinct ceiling and wall design, and for decorative element, strong brand image communication is required through showcase design. We proved that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have the correlation, which also can be in direct proportion,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mproving brand awareness as the primary element for cosmetic road shop can be an effective way to enhance brand imag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화장품 브랜드 로드 숍 공간디자인 분석에 의한 연구 모형 구축
4. 연구의 설계 및 실증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619-001807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