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과학기술의 발전,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등은 인류의 생산활동과 일상생활, 정보 교류 방식에 전면적이고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새로운 미디어 형식의 출현도 디자인으로 하여금 더 많은 정보 전달 방식과 수단을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에게도 실질적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더불어 기존 매체와의 상호 작용으로 디자인 사고 모델의 확장뿐만 아니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창작의 영감과 디자인 방법 및 전달 방식을 찾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상호보완적 디자인 방법의 연구를 제시하여 우리의 창조적 사고를 돕고, 지각 능력을 향상시키며, 디자인 방법론을 체계화하는 데 일정한 이론적 의미와 실현 가치가 있다. 상호보완적 디자인 방법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디자인을 더욱 잘 이해하고, 디자인 방법론 영역에 새로운 연구방법을 보충하여 디자인학과의 디자인 이론 체계를 보강하면 발전된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의 실현과 디자인 모델의 구축에 그 가치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 연구의 상호보완 디자인 방법은 주로 두 가지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디자인의 사고 방법이다. 주로 전면적 관찰 - 이성적 분석 - 직관적 귀납 - 대응적 연상 - 창의적 창작 - 체계적 평가 면에서 표현된다. 이는 디자인 활동의 주요 방법이며 상호보완 디자인 방법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준다. 둘째, 상호보완 디자인 방법이다. 주로 인지구조 방식, 사고방식 모델, 방법구조모델, 가치구조 모델의 네 가지 모델이 포함된다. 또한, 상호보완 디자인 방법은 이 네 가지 측면에서 발생된다. 도표 분석법을 통해 위 두 가지 내용에 대해 분석하여 디자인의 사고 모델을 구축한다. 상호보완적 디자인의 방법은 단조로운 각도의 인식과 비교할 때, 디자인 사고 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능력을 제시한다. 사물의 양면적 사고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할 뿐 아니라, 발산적 사고를 제시하며, 디자인 과정 중의 수렴적 사고방식 등의 사고와 상호 작용을 일으키며, 상호보완의 인식 모델을 통하여, 변증법적 사고로 상호보완을 창출하면 우리의 창의 사고 능력을 더 전면적으로 철저하고 심도 깊은 곳으로 이끌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g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rapid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has brought about comprehensive and innovative changes in human production activities, daily life, and information exchange. These changes have prompted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media. They have also provided more information-delivery methods and methods for design, which have brought tremendous changes to our lives. Not only that, under the interaction of different media, our thinking patterns and design thinking patterns have changed. At the same time, we need to adapt to changes in the new thinking mode. In this regard, designers began to look for new creative inspirations and design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s.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complementary design methods. This will help improve our creative thinking, further enhance our perception ability, and systematize the design methodology, which has a certain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implementation guidance value. While establishing complementary design methods, we will further understand the system of design methods. In the field of design methods, new research methods are perfected, design theory systems for design disciplines are perfected, new design methodologies are constructed, and design patterns and thinking patterns are constructed. The complementary design methods studied in this paper mainly include two aspects. First, the design thinking method. Mainly reflected in comprehensive observation - rational analysis - intuition induction - corresponding association - imagination creation - systematic evaluation of these aspects, which is the main method of design activitie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omplementary design methods. Second, complementary design methods mainly include four aspects: cognitive structure, thinking mode, method structure, and value structure. The complementary design method will be based on these four aspects. The analysis of these two aspects is performed through chart analysis to construct the design thinking mode. Comparing with single-angle thinking, complementary design methods provide a deep understanding of design thinking objects. It not only emphasizes the two-sided thinking mode of things, but also proposes the interaction between divergent thinking and the convergent thinking in the design process. If we complement each other with dialectical thinking through complementary modes of understanding, I think we can guide our innovative thinking more comprehensively, thoroughly, and profou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