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자체 캐릭터에 지역의 이야기 자원을 활용한 융합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서울, 경기 지자체 캐릭터 47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지역 이야기 자원 스토리텔링 개발 사례는 수원시 수원이 캐릭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은 문헌적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현황조사 및 지자체 캐릭터 관련 자료는 인터넷을 통한 D/B검색과 홈페이지를 통하여 수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 각 지자체 캐릭터 47개를 대상으로 유형분류를 실시한 결과 인물형(17%), 상징형(36.2%), 동식물형이 4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별 소재로는 인물형은 역사인물, 지역설화를 소재로 동식물형은 지역의 대표 동물, 식물, 특산물을 소재로, 상징형은 인프라, 자연환경, 전통문화, 비전, 기타를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자자체 캐릭터의 OSMU 활용 실태는 축제, 조형물, 기념품 및 특산물, 테마파크 등에 활용되고 있으나 지역행사 외에 웹툰(4.3%), SNS 활용(8.5%), 애니메이션(6.4%) 등 확장된 자자체 캐릭터의 OSMU 활용범위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자체 캐릭터와 지역 활성화를 위하여 캐릭터를 활용한 지역자원 스토리텔링 개발은 지역 이야기 자원의 ‘발견’, ‘보존’, ‘확장’, ‘창조’에서 출발하여 1차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지자체 캐릭터와 목적에 의하여 지역이야기를 변용시키는 2차 스토리텔링의 확장성, 이야기의 창조적 재구성, 주체 간 상호작용성, 향유의 지속성의 과정을 통하여 개발될 수 있다. 지역 이야기의 범주를 네 가지로 구분하여 캐릭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의 이야기 발굴 및 자원화 개발과정은 탐색, 분류, 구성, 다듬기, 공유의 5단계로 진행된다. 수원시 캐릭터수원이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수원시 이야기 자원을 허구형과 실재형으로 구분, 융합 스토리텔링 모델을 제안하고 스토리텔링 개발 프로세스를 정리하였다. 지역 이야기 자원을 활용한 융합 스토리텔링은 침체된 지자체 캐릭터에 새로운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k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t storytelling with the application of the regional story resources to a local-government character. The research was developed targeting 47 local-government characters in Seoul and Gyeonggi as the research scope. A case of developing the storytelling of the regional story resources had the subject as the character Suwoni in Suwon city. As for a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progressed a research focusing on documental data. The survey of present status and the materials related to local government were carried out the collection and the analysis through the internet-based D/B retrieval and homepage. As a result of having implemented a type classification targeting 47 characters in each local government of Seoul and Gyeonggi area, a figure type(17%), a symbol type(36.2%), and an animal-plant type appeared to be the highest with 46.8%. A type-based material was produced by having a material as a historical person and local folk tales in a figure type, by having a material as the locally typical animal, plant and speciality in an animal-plant type, and by using infrastructure, natural environment, traditional culture, vision and others in a symbol type. The actual condition of using OSMU in a local-government character was surveyed to be currently applied to festival, sculpture, souvenir & regional product and theme park, but to be inadequate in the range of using OSMU in the extended local-government characters such as webtoon(4.3%), SNS application(8.5%), animation(6.4%) other than a local event. The development in the regional-resource storytelling with the application of a character aiming at a local-government character and a region may be made through the process of the extendability, of the creative recomposition in a story, of the interactivity between main agents, and of the continuity in enjoyment for the secondary storytelling, which transforms a regional story according to the local-government character and objective based on the primary storytelling with starting from ‘discovery,’ ‘preservation,’ ‘extension’ and ‘creation’ in the regional story resources. The process of excavating a story and developing a resource in the storytelling with the application of a character through dividing a category of a local story into four things is developed with 5 stages in exploration, classification, composition, trimming and sharing. It selected Suwoni in Suwon city’s character as the research subject, divided the story resource of Suwon city into a fictional type and a real type, proposed the conver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