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고찰
3.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 지역공동체와 창신동라디오〈덤〉: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4. 연구결과
5. 나가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길걷수다] 제3편 창신동 높은 곳의 소소한 고찰_높은 곳에서 산다는 것
더스쿠프
2020 .10
지역공동체 구성원들의 공동체미디어 실천에 대한 고찰 : ‘창신동라디오 〈덤〉’ 현장에 대한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8 .06
[길걷수다] 제5편 창신동 | 골목길의 고찰_시간이 멈춘 곳에서 삶을 만났네
더스쿠프
2020 .11
정문헌 종로구청장_“창신동 ‘미래도시’ 초고층 랜드마크 만들겠다”
ANDA
2022 .12
[길걷수다] 제6편 창신동 | 골목길의 고찰 ❷ : 골목 속 늙은 집, 그 어쩔 수 없는 이유
더스쿠프
2020 .12
라디오 르네상스, 스마트폰 FM라디오 직접수신과 라디오 혁신 방안
방송문화
2018 .03
라디오의 역사적 단절에 대한 우려 : 라디오의 디지털화를 위하여
방송문화
2017 .06
“라디오란 무엇인가?” : 라디오 매체 특수성의 이해와 규제 개선방향
방송문화
2020 .06
‘낡은 집’ 살던 창신동 모자의 비극… 그들을 둘러싼 허점들
[SOKO] 소셜 코리아
2022 .08
라디오 활성화를 위한 라디오 통합 플랫폼 구축 및 라이브리드 도입 방안
방송문화
2023 .03
[길걷수다] 제 4편 창신동 | 1층 사무실의 소소한 고찰_확장, 공유, 커뮤니티의 시작점
더스쿠프
2020 .11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 마포 FM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16 .08
장소 기억의 정치와 페미니즘적 재구성 : 서울 창신동에 대한 다층적 의미 구성
여성학논집
2023 .06
[경영칼럼] SNS 이제 그만~ 덤폰에 눈뜬 Z세대
매경이코노미
2023 .07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바람직한 규제방안
방송문화
2019 .06
국내 공동체라디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규 허가 조건에 따른 쟁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22 .01
라디오는 살아 있다…탄핵 정국 속 인기 쑥쑥 : 요즘 뜨는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
신문과방송
2017 .03
통일정책 4.0과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015 .05
미디어는 공동체에 어떠한 기여를 해야 하나
미디어와 교육
2016 .06
라디오 100년의 고독사(史): 라디오 역사(문화) 연구의 치명적 공백
방송문화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