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남북방송교류의 개념
Ⅲ. 국가적 과제로서 통일과 남북방송교류
Ⅳ. 남북방송교류의 현실과 과제
Ⅴ. 결론 : 남북방송교류의 방향에 대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2009. 5. 28. 선고 2007헌마369 전원재판부
가. 한미연합 군사훈련은 1978. 한미연합사령부의 창설 및 1979. 2. 15. 한미연합연습 양해각서의 체결 이후 연례적으로 실시되어 왔고, 특히 이 사건 연습은 대표적인 한미연합 군사훈련으로서, 피청구인이 2007. 3.경에 한 이 사건 연습결정이 새삼 국방에 관련되는 고도의 정치적 결단에 해당하여 사법심사를 자제하여야 하는 통치행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6. 2.자 2004마1148,1149 결정
[1] 도롱뇽은 천성산 일원에 서식하고 있는 도롱뇽목 도롱뇽과에 속하는 양서류로서 자연물인 도롱뇽 또는 그를 포함한 자연 그 자체로서는 소송을 수행할 당사자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한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0. 7. 20. 선고 98헌바63 전원재판부
가. 위 법은 기본적으로 북한을 평화적 통일을 위한 대화와 협력의 동반자로 인정하면서 남북대결을 지양하고, 자유왕래를 위한 문호개방의 단계로 나아가기 위하여 종전에 원칙적으로 금지되었던 대북한 접촉을 허용하며, 이를 법률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제정된 것으로서, 그 입법목적은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헌법의 제반규정에 부합하는 것이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3. 7. 29. 선고 92헌바48 전원재판부〔각하〕
가. 문제된 법률(法律)의 위헌(違憲) 여부가 재판(裁判)의 전제(前提)가 된다 함은 우선 그 법률(法律)이 당해 본안사건(本案事件)에 적용될 법률(法律)이어야 하고 또 그 법률(法律)이 위헌무효(違憲無效)일 때에는 합헌유효(合憲有效)일 때와는 본안사건(本案事件)의 담당법원이 다른 내용의 판단을 하여야 할 경우 즉 판결(判決)의 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5. 4. 30. 선고 2012헌바95·261, 2013헌가26, 2013헌바77·78·192·264·344, 2014헌바100·241, 2015헌가7(병합) 결정
1.반국가단체 조항의 반국가단체에 북한이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헌법에 위반된다는 취지의 주장은 사실인정 내지 법률조항의 포섭·적용, 법원의 법률해석이나 재판결과를 다투는 것에 불과하여 현행의 규범통제제도에 어긋나므로, 반국가단체 조항에 대한 심판청구는 부적법하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6. 10. 4. 선고 95헌가2 전원재판부〔합헌〕
法 제7조 제1항은 憲法裁判所 1990. 4. 2. 宣告 89헌가113 決定 등의 취지를 받아들인 것으로서 舊法 規定보다는 그 構成要件이 훨씬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만 아직도 구법 규정의 결함이었던 법문의 다의성과 적용범위의 광범성이 조금은 남아 있다. 그러나 법 제7조 제1항에서는 "國家의 存立·安全이나 自由民主的 基本秩序를 위태롭게 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0. 4. 2. 선고 89헌가113 전원재판부〔합헌〕
1. 위헌법률심판(違憲法律審判)의 대상(對象)에 있어서 법문(法文)의 내용(內容)이 다의적(多義的)이고 그 적용범위(適用範圍)에 있어서 과도한 광범성(廣範性)이 인정된다면 법치주의(法治主義)와 죄형법정주의(罪刑法定主義)에 위배(違背)되어 위헌(違憲)의 소지(素地)가 있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남북 방송교류협력 현황과 과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11
통일에 대한 방송의 책무와 남북 방송 교류 협력의 활성화 방향
방송문화
2018 .06
남북 방송 교류를 위한 저작권 이슈 점검
방송문화
2018 .09
새로운 남북관계와 남북 문화교류
[KDI] 북한경제리뷰
2018 .10
남북방송교류 협의 과정과 정치적 함의
한국동북아논총
2015 .06
남북교류협력 기반조성을 위한 국토계획과 발전방향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021 .01
4.27 판문점 선언 이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사업 질적 전환 조건 연구
GRI 연구논총
2018 .08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 관계에서의 역할 검토
지방자치법연구
2020 .01
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본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의 방향과 과제
도시연구
2019 .12
지방정부 남북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연구
통일연구
2018 .01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 및 협력방안
지방행정연구
2016 .01
남북 교류협력사업 평가와 발전 방향
평화학연구
2018 .09
중국 양안(兩岸)방송교류의 현황 및 남북 방송교류에 주는 시사점
방송문화
2019 .03
남북한 음악교류의 양상과 방향
통일과 평화
2018 .01
민선6기 경기도 남북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2016 .01
제3국 법인을 통한 남북교류협력사업 규제법 검토
법학평론
2015 .02
충청북도 남북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지역정책연구
2018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