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개요
Ⅰ. 들어가는 말
Ⅱ. 강릉은 ‘오’의 문화권
Ⅲ. 불교문화권
Ⅳ. 강릉단오제와 영산홍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부산 기장군 ‘탄산(수령산)’ 연원 연구
우리말연구
2019 .01
뮤지엄 산(SAN)
숙명문학
2020 .11
대산종사 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그 특징과 의의
신종교연구
2016 .01
종교로서의 한국무속 : 무속 담론에서 ‘무교’ 개념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2018 .12
불교와 민속신앙의 상호교류와 공유 재인식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18 .01
강릉학산오독떼기유산과 공연콘텐츠
공연문화연구
2019 .01
파주 임진팔경과 來蘇亭 詩 고증편
어문연구(語文硏究)
2024 .09
부산 승학산 지명 연원과 변천 연구
항도부산
2024 .01
한국 중세인들의 풍수관에 대한 새로운 해석 : 장지연, <고려·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 (신구문화사, 2015)
역사와현실
2016 .09
조선후기 연행사의 중국 명산 유람 양상과 특징
반교어문연구
2015 .01
태산문화연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본 지리산문화연구의 의의와 전망
남도문화연구
2016 .12
A Comparative Study on Christianity and Shamanism in Korea
선교신학
2017 .02
[박사논문 서평]무불(巫佛), 어울림의 미학을 넘어
고전과 해석
2022 .08
현대시에 담긴 지리산의 심상
남도문화연구
2015 .12
고전소설 <유이양문록.에 나타난 금강산 유람과 공간적 의미
온지논총
2019 .01
불교와 무속의 상관성 검토 : 수륙재와 무속 죽음 관련 굿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2018 .02
한국 근대문학의 용산 -식민지시기 조선인의 용산 경험과 탈식민적 심상지리의 구축
구보학보
2019 .01
黃峨 散曲에 보이는 희곡적 특징 연구
중국문화연구
2020 .05
동북아의 백산신앙과 백두산-土着性과 越境性
유라시아문화
2020 .08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
종교연구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