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체육과학연구 체육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12 - 26 (1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마른 비만(normal weight obesity)은 체중과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정상 범위에 해당하지만, 제지방량이 부족하고 체지방률이 높은 신체균형 불균형 상태로서, 일반 비만과 유사한 대사적 이상상태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현대사회에서 외모와 날씬한 몸매에 대한 지나친 관심에 따라 운동 부족과 불균형적인 식이 섭취에 기인하여 주로 20대 여성에게서 마른 비만이 주로 나타난다. 이들 마른 비만자의 심혈관기능과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의 BMI와 체지방률에 따른 심혈관기능, 정신건강 척도 및 스트레스관련 변인을 비교·분석하였다. 20대 여성 68명을 대상으로 BMI와 체지방률에 따라 정상 집단(n=25), 마른비만 집단(n=19), 그리고 일반비만 집단(n=24)의 세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각 집단 간에 심혈관기능, 정신건강 척도 및 스트레스관련 혈액변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혈관기능과 관련된 변인에서는 혈압, 평균동맥압, 심근 산소소비량에서 정상 집단과 일반비만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우울 척도와 스트레스 자각 척도에서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반비만 집단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3) 인슐린, 글루코스, 그리고 CRP에서는 정상 집단과 일반비만 집단 간, 그리고 마른비만 집단과 일반비만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일반비만 집단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상자들의 연령이 20대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정상 집단과 일반비만 집단 간에 심혈관기능의 차이가 있었으며, 스트레스관련 혈액변인에서도 비만 집단의 상태가 정상 집단과 마른비만 집단에 비해 좋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록, 이 연구에서 마른비만 집단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수준이 비만 집단만큼 위험한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비만할수록 전반적인 건강상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여성의 경우 연령의 증가에 따라 호르몬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체지방률의 증가 및 정신건강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20대부터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잡힌 식이 섭취를 실천하여 향후 발생할 다양한 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5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