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일 산업은 환경이나 서비스의 질적 변화는 물론 네일 아트 부분에서도 새로운 재료의 연구 개발로 종전의 평면 아트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를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운 형태로의 시도는 한층 더 창의적인 디자인 전개를 가능하게 하며, 소비자 의 만족도룰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디자인에 각각 다른 형태를 적용하여 20대 여성을 중심 으로 네일 아트 형태 선호 유형에 따라 네일 샵 이용행태 및 선 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네일 샵의 이용주기는 1년에 1~2회 이하로 이용한다는 응답 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0대 후반이 20대 전반보 다는 네일 샵을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형태 그 룹별 이용 주기는 3D 선호 그룹, 2D 선호 그룹, 평면 아트 선호 그룹 순으로, 3D 선호 그룹이 네일 샵을 가장 자주 이용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네일 관리 비용은 1만원 미만, 3만원 이 상~6만원 미만, 1만원 이상~3만원 미만 순으로 나타났으며, 20 대 후반이 전반보다 네일 관리 비용을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선호 형태별로는 평면 아트 선호 그룹이 네일 관 리비용을 가장 적게 사용하며, 3D 선호 그룹이 가장 많이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일 샵의 정보원은 20대 전반 후반 모 두 친구, 기타, 인터넷 및 휴대폰 어플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광고 매체는 20대 전반은 인터넷 및 휴대폰 어플, 20대 후 반은 홍보 전단지 및 잡지 광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20 대 전반은 IT로부터 20대 후반은 지면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비 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일 샵의 이용행태를 종합하면 네 일 아트 시술이 보편화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앞으로 네일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 미로 해석된다. 또한 방문 고객의 구전효과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광고방법으로 사료되며, 연령별로는 20대 후반이 전반보다 네일 샵을 자주 이용하고 비용도 더 많이 지 출하는 것으로 나타나 20대 후반이 주로 이용하는 지면 광고도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네일 아트 형태 선호도는 2D 아트, 평면 아트, 3D 아트 순으 로 나타났으며, 20대 초반은 2D 아트, 20대 후반은 평면 아트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트의 적용 수의 선호도는 평 면 아트와 2D 아트는 2~3개, 3D 아트는 1~2개 시술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개의 적용은 3형태 모 두 20대 후반이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나 2~3개의 적용부터 는 20대 전반이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 연령이 낮을수록 개성 이 강한 네일 아트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술하고 싶 은 네일 아트 선호도는 단순한 디자인, 독특한 디자인, 화려한 디자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면 아트 선호 그룹과 2D 선호 그 룹은 단순한 디자인, 3D 선호 그룹은 화려한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트 크기나 패턴의 선호 경향은 평면 아트 선호 그룹과 2D 선호 그룹은 잔잔하게 부분적으로 들어 간 문양을 선호하는 데 반해 3D 선호 그룹은 큰 문양과 손톱 전 체에 들어간 문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면 아트 선호 그룹은 단일 기법을 2D 선호 그룹과 3D 선호 그룹은 복합 적 기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호 유형 별 네일 아트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객 의 연령별, 성격 유형별 디자인 제안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로 연령별, 네일 아트 형태 선호 유형별로 네일 아트 이용 행태 및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 러한 결과는 향후 네일 아트 산업의 발전과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디자인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addition to conventional plain art, various types of nail art have become available recently, making creative designs possible. This study analyzed the 20s women’s preferences by applying different types to the same design. ‘Friend’ was the highest-ranking source of information about nail salons among both ‘early 20s’ and ‘late 20s’ participants. In terms of advertising medium, ‘early 20s’ participants mostly obtained information from IT devices, while ‘late 20s’ participants usually acquired information they wanted from printed sources. The ‘3D-preference group’ showed the highest nail salon visit frequency and had the highest nail care costs. Among the preferred nail art types, ‘2D art’ was chosen most frequently, followed by ‘plain art’ and ‘3D art.’ Younger respondents preferred unique and differentiated nail art types. In the ‘plain art?preference’ and ‘2D-preference’ groups, simple designs as well as pure and small patterns were preferred. In the ‘3D-preference’ group, on the contrary, gaudy designs and large patterns were popular. A single nail-art technique was preferred in the ‘plain art- preference group’, while a complex technique was commonly chosen in the ‘2D-preference and ‘3D-preference’ groups. In terms of interest in fashion, in particular, in the ‘3D-preference group’ more than 80% of participants responded ‘not interested.’ In other words, as they preferred unique and differentiated patterns, they were less interested in fash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