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안드레예프의 초기 단편에 나타난 ‘소외’의 테마 연구 <<그랜드슬램>>과 <<침묵>>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2 .01
『예브게니 오네긴』에서 죽음의 문제
노어노문학
2000 .12
《크로이처 소나타》를 통해 본 똘스또이의 결혼관
슬라브학보
2000 .12
톨스토이와 ‘삶-크로노토프’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1 .01
그리고리 멜레호프의 비극 : 두 가지 원칙의 경계에서
슬라브학보
2003 .12
『의사 지바고』의 죽음의 주제
외국학연구
2012 .01
파스테르나크의 창작적 세계관으로 비춰본 『닥터 지바고』의 예술 체계
노어노문학
2001 .12
문화 유산으로의 통로: 기억체계 : 비또프의 《뿌쉬낀의 집》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01 .12
시대의 변화와 반영 : 제네쥐끼나(И. Денежкина)의 『나에게 줘!』(Дай мне!)에 나타난 문학의 탈도덕화
슬라브학보
2009 .09
파스테르나크의 낙원 테마 연구 : 도스토엡스키의 낙원 비전에 비춰본 시집 『날이 개일 때』
슬라브학보
2018 .12
체호프의 예술세계에 나타난 의복(복식) 연구 : 후기 작품세계에 형상화된 ‘남자주인공의 자아의 양상’과 관련하여
세계문학비교연구
2008 .01
현대 러시아 전쟁문학, 쁘릴레삔의『병리학』고찰
슬라브학보
2009 .09
바흐찐 미학에서 형식의 개념
슬라브학보
2002 .06
게으른 반항아, 오블로모프
슬라브학보
2004 .06
О русской прозе послевоенных лет: споры и бесспорное- к вопросу о концепции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послевоенного периода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0 .01
자아의 정체성을 향한 탐구의 서사 : 이반 부닌의 《아르세니예프의 生》
슬라브학보
2002 .06
대화로서의 독백과 독백으로서의 대화 : 1920년대 플라토노프와 숄로호프의 경우
슬라브학보
2008 .09
유리 뜨리포노프의 《또 다른 삶》연구
노어노문학
2001 .12
빅또르 뻴레빈의 『P 세대(Generation П)』에 나타난 문화영웅으로서의 ‘신러시아인’과 민족정체성
노어노문학
2011 .03
튜체프의 자연철학 연구 : 범신론적 세계관에 대한 再考
슬라브학보
200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