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혜경 (강남대학교)
저널정보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 제54호
발행연도
2019.9
수록면
181 - 211 (31page)
DOI
10.18658/humancon.2019.09.54.18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지역문화콘텐츠의 정책 지향과 문제를 파악하고 향유자 중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지역문화콘텐츠 정책은 첫째, 지역민의 참여와 생활문화콘텐츠로 그 외연을 확장하며 전통적인 지역문화콘텐츠의 개념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둘째, 지역특화 융복합콘텐츠와 지역산업을 연계함으로써 지방 소멸위기에 직면한 도시의 경제적 자립을 전략적으로 지원하며 지역산업 생태계를 새롭게 재편하고 있다. 셋째, 미디어 서비스의 영역 확장과 변화에 맞춰 웹콘텐츠와 멀티 플랫폼을 지향함으로써 지역문화콘텐츠의 확장을 꾀하고 있다. 이처럼 지역문화콘텐츠 정책은 지역자원이 과거와 특정 지역에 머물지 않고 현재와 소통하며 고유한 이름을 찾도록 추동한다. 뿐만 아니라 지역의 경제, 문화, 공동체를 엮고 지역의 성공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문제는 향유자 중심 정책을 강조하면서도 관련 사업을 운영주체와 사업자 관점에서 시작하고 마무리한 데 있다. 게다가 콘텐츠 시장은 제작과 소비의 경계를 허물고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지역문화콘텐츠 분야의 경우 개발비를 지원하는 기관의 정책과 사업 틀에 묶여 콘텐츠 시장의 유행을 쫓는 양상을 보였다. 지방분권이 가속화되고 관련 정책은 Top↔bottle 방식으로 전환되었음에도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에서는 중앙 정부의 정책과 흐름에 구속된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지역문화콘텐츠 정책과 평가 방식이 지역문화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가능성까지 차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지역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제작하는 일 못지않게 이미 만들어진 콘텐츠의 생명력을 연장하는 일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향유자 관점에서 콘텐츠의 생명력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향유자에 의한 매개-생산-소비가 가능하도록 지역문화콘텐츠에 대한 취향을 엮어 하나의 향유 라이프 사이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술문화 전통을 활용하고 통합적 향유 로드를 설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의 통합적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아니다. 분산된 지역문화콘텐츠를 묶고 입체화하여 향유자가 미션을 수행하듯 전국 단위의 지역문화콘텐츠를 지속해서 경험하고 관련 모험을 감행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향유자에 의한 참여와 매개를 확장하기 위해 향유자 중심의 ‘지역문화콘텐츠 크라우드 펀딩 사업’을 제시하였다. 지자체 펀딩사업과 구별되게 향유자로부터 펀딩을 받아 관련 콘텐츠를 양산하는 방식이다. 끝으로 지역문화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의 폐쇄성을 극복하고 향유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문화콘텐츠의 향유 로드를 입체적으로 디자인하고 정책적 차원에서 통합 마케팅을 실현할 것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향유 정책을 실효성 있게 펼친다면 향유자는 전국의 지역문화콘텐츠를 파편화된 형태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 네트워크를 타고 지역문화콘텐츠의 세계를 유영하며 지역문화콘텐츠의 또 다른 생산주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지역문화콘텐츠의 정책 지향과 문제
Ⅲ. 지역문화콘텐츠의 향유 지속 방안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