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의 전개와 중단
Ⅲ. 글로벌 미술의 지형과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Ⅳ.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의 지속을 저해한 요인들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Direction for Design Biennale
한국디자인학회 국제초대전도록
2016 .12
동시대 한국 미술에서 발현되는 여성 미술의 지형 : 광주비엔날레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4 .08
1970년대 한국현대미술의 결정적 장면, 《서울비엔날레》(1974)와 ‘새로운 평면
한국예술연구
2022 .06
광주비엔날레 전시 경험 마케팅 전략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23 .12
2024 부산비엔날레 《어둠에서 보기》 8.17~10.20
월간미술
2024 .11
[테마기획] 비엔날레 수확의 계절: 걷기 · 보기 · 감각하기
월간미술
2023 .11
제14회 광주비엔날레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월간미술
2023 .05
[방콕] Bangkok Art Biennale 2024
월간미술
2025 .02
[ARTIST] 물속에서 세계 짓기
아트인컬처
2025 .02
[Emerging Artist] 꿈이 이루어지는 지금 여기, We Are!
월간사진
2024 .09
베니스비엔날레 국가관의 탈/국가적 지향과 기후변화 시대의 지속가능성 : 한국관의 역사, 전망, 모색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4 .07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 9.7~12.1
월간미술
2024 .11
1990년대 이후 한국미술의 세계화 맥락에서 본 광주비엔날레와 문화매개자로서의 큐레이터
현대미술사연구
2016 .12
제7회 창원조각비엔날레 《큰 사과가 소리없이》_깎여 나간 자리를 따라 걷기
월간미술
2024 .12
An artist’s eye from three perspectives
한국디자인학회 국제초대전도록
2024 .06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주제, 방향성 발표_《판소리-21세기 사운드스케이프》
월간미술
2023 .08
예술가교사(teaching artist) 체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조형교육
2024 .02
‘개인’의 위치 : 2010년대 미술가/개인의 존재 방식과 사회적 발언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8 .12
‘직업 예술인’의 정체성 - 복수의 직업 정체성을 지닌 예술가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한국영상학회논문집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