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개요
Ⅰ. 머리말: 단오 세시층위와 정체성
Ⅱ. 삼척지역 단오세시의 기반
Ⅲ. 문헌 속 고을축제: 오금잠제
Ⅳ. 재현과 현재 속 마을축제: 단오맞이, 단오굿, 오금잠굿
Ⅴ. 단오의례와 산멕이
Ⅵ. 맺음말 : 단오문화권과 오금잠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가 속 단오 이미지 고찰
국제언어문학
2024 .08
삼척 미로단오제 고찰
강원민속학
2020 .09
일제강점기 지역축제로서의 단오(端午)의 지속과 변화 - 서울[京城]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고대학
2018 .01
신라 단오고사의 양상과 성격
민속학연구
2020 .11
농경과 세시 풍속의 상관성 연구 : 이앙법의 보급과 단오 풍속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12
20세기 북한지역 단오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고찰 : 식민지 시기 단오의 양상과 6.25 이후 사회주의적 변용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15 .11
영동단오와 영서단오의 비교 고찰 : 금진마을과 회촌마을을 중심으로
강원민속학
2018 .09
삼척 미로단오굿의 연행양상과 특징
민속연구
2018 .02
한국 물맞이문화의 불교민속의례적 성격
종교문화연구
2019 .06
삼척 오금잠제(烏金簪祭)의 변천에 관한 일고찰
무형유산
2017 .0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DANO 개념과 종교개혁신학의 한국교회에 대한 윤리적 요청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8 .04
한중 문화충돌 서막, 단오 논쟁의 교류사적 의미
동북아역사논총
2022 .06
고려시대 국왕 관련 의례 연구의 성과와 제언
동방학지
2019 .01
조상에 대한 의례학적 쟁점 - 기복, 윤리, 구제 -
종교연구
2021 .08
한 · 중 · 일 단오민요 고찰
국제언어문학
2023 .12
남북한 씨름의 지역적 분포
동양고전연구
2018 .01
청동기시대 儀禮 연구와 그 방향성
한국청동기학보
2023 .04
일상에서 나타나는 조직문화 사례연구 : 의례적 관점을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2015 .06
강릉단오제 신격변동
민속학연구
2017 .12
강원도 무속의 양상과 특징
한국민속학
2015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