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경계를 넘어서: 동아시아 시각에서 본 고구려 벽화
아시아리뷰
2021 .04
사의(寫意)와 사생(寫生) 개념 고찰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01
1970년대 ‘소폭’ 동양화의 시각성과 그 교양적 기능-남정 박노수(藍丁 朴魯壽, 1927~2013)의 ‘시가 있는 그림’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
2018 .01
고구려 고분벽화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의미
한국문화연구
2018 .01
예비중등미술교사들의 한국화 체험학습 사례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01
사찰민화와 불화 속 궁중회화 양식의 경계
한국민화
2023 .12
‘조선후기 회화’의 연구사 -풍속화의 재발견과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한국문화연구
2019 .01
作畵의 詩化― 조선후기 회화 애호풍조와 관련하여 ―
감성연구
2024 .02
한국화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발달장애연구
2022 .09
윤두서의 <채애도(採艾圖)>와 문인정신 : 풍속화 논의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2 .11
치성광여래도(熾盛光如來圖)에 그려진 신선문자도상(神仙文字圖像) 고찰 -서울 안양암 금륜전 치성광여래도를 중심으로-
한국민화
2020 .12
한국화와 서양화의 비교감상에 따른 유아의 그림 선호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16 .02
벽화의 공간적 요소 분석 - 벽, 재료, 색채를 중심으로 -
도시디자인저널
2019 .12
원문자(元文子, 1944- )의 한국화
한국문화연구
2018 .01
2015 개정 미술교과서 한국화 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초등학교 3, 4학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01
북위 평성시기 고분미술의 변천과 융합
중앙아시아연구
2021 .12
민화의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매체와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
예술심리치료연구
2024 .09
민화(民畵) 수노인도(壽老人圖)에 대한 고찰
한국민화
2016 .12
멕시코 벽화의 조형기호학적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023 .02
원광대학교박물관 김태곤 컬렉션 무화의 특색과 의의
한국민화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