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고등교육 영역의 (헌)법적 이념
Ⅲ. 국립대학 거버넌스
Ⅳ. 사립대학 거버넌스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2018. 12. 27. 선고 2016헌바217 전원재판부 결정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2. 10. 1. 선고 92헌마68,76 全員裁判部
가. 국립대학(國立大學)인 서울대학교(大學校)의 “94학년도(學年度) 대학입학고사주요요강(大學入學考査主要要綱)”은 사실상의 준비행위(準備行爲) 내지 사전안내(事前案內)로서 행정쟁송(行政爭訟)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행정처분(行政處分)이나 공권력(公權力)의 행사(行使)는 될 수 없지만 그 내용이 국민(國民)의 기본권(基本權)에 직접 영향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8. 4. 26. 선고 2014헌마274 결정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1. 18. 선고 99헌바63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조항이 학교법인으로 하여금 의무의 부담을 하고자 할 때 관할청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어 사립학교운영에 관한 자유를 제한하고 있다 하더라도, 이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권리를 제한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며, 일정액 미만의 넓은 범위에서 허가를 받지 않도록 예외를 두고 있고 시행상 일반적인 학교운영과 관련된 통상적인 의무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9. 4. 30. 선고 2005헌바101 전원재판부
가. 임시이사제도는 위기사태에 빠진 학교법인을 조속한 시일 내에 정상화시킴으로써 학생들의 수학권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데 그 제도적 취지가 있으므로 그 입법목적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있고, 임시이사는 설립 목적의 본질적인 변경이나 임시이사 선임사유 해소 시의 정식이사 선임과 같이 학교법인의 일반적인 운영을 넘어서는 사항을 결의할 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9. 11. 28. 선고 2017헌마759 전원재판부 결정
가. 변호사 등록제도는 그 연혁이나 법적 성질에 비추어 보건대, 원래 국가의 공행정의 일부라 할 수 있으나, 국가가 행정상 필요로 인해 대한변호사협회(이하 `변협’이라 한다)에 관련 권한을 이관한 것이다. 따라서 변협은 변호사 등록에 관한 한 공법인으로서 공권력 행사의 주체이다. 또한 변호사법의 관련 규정, 변호사 등록의 법적 성질, 변호사 등록을 하려는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3. 5. 30. 선고 2009헌마514 전원재판부
가. 법학전문대학원은 교육기관으로서의 성격과 함께 법조인 양성이라는 국가의 책무를 일부 위임받은 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이화여자대학교는 사립대학으로서 국가기관이나 공법인, 국립대학교와 같은 공법상의 영조물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일반적으로 사립대학과 그 학생과의 관계는 사법상의 계약관계이므로 학교법인 이화학당을 공권력의 주체라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3. 11. 28. 선고 2007헌마1189,1190(병합) 전원재판부
가. (1) 개방이사제에 관한 사립학교법 제14조 제3항, 제4항은 사립학교운영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하고, 학교구성원에게 학교운영에 참여할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방이사가 이사 정수에서 차지하는 비중, 대학평의원회와 학교운영위원회가 추천하는 개방이사추천위원회 위원의 비율, 학교법인 운영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사전적·예방적 조치의 필요성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9. 2. 14. 선고 88다카4710 판결
가. 문서진부확인의 소는 오로지 권리 또는 법률관계를 증명하는 서면에 관하여 그것이 작성명의자에 의하여 진정하게 작성되었느냐의 여부에 관한 것이므로 그 서면에 기재된 내용이 객관적 진실에 합치하느냐의 여부에 관한 확인의 소는 허용되지 않는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4. 4. 24. 선고 2011헌마612 전원재판부
가. 다른 대학 교직원은 심판대상조항의 직접적인 수범자가 아니고, 서울대학교에 대한 재정 지원 조항이 다른 대학 교직원의 법적 지위나 권리·의무관계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도 어렵다. 일반시민은 심판대상조항의 직접적인 수범자가 아니며, 대학의 자율 및 공무담임권, 평등권의 침해 문제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본권 침해 가능성 내지 자기관련성이 인정되지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6. 2. 25. 선고 2013헌마692 결정
1. 사립학교법(2013. 3. 23. 법률 제11690호로 개정된 것) 제31조의2 제1항은 교육부장관은 필요한 경우 감사증명서 등을 감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청구인들에 대한 기본권침해는 위 규정에 의해 직접 초래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부장관의 감리행위라는 집행행위가 있을 경우에 비로소 기본권침해가 현실화된다. 따라서 이 부분 심판청구는 기본권침해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5. 17. 선고 2006다19054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가) 일단 기존 정식이사의 퇴임이 확정되고 구 사립학교법(2005. 12. 29. 법률 제78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상의 절차에 따라 임시이사가 적법하게 선임되었다면 그 선임사유가 무엇이든 통상적인 업무에 관한 이사로서의 권한은 임시이사에게 속하게 되므로, 민법 제691조를 유추하여 그 퇴임이사에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6. 4. 27. 선고 2005헌마1047,1048(병합) 전원재판부
가.헌법재판소는 대학의 자율성은 헌법 제22조 제1항이 보장하고 있는 학문의 자유의 확실한 보장수단으로 꼭 필요한 것으로서 대학에게 부여된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보고 있다( 1992. 10. 1. 92헌마68등, 판례집 4, 659, 670). 그러나 대학의 자치의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고등교육의 위기와 고등교육 법제화 필요성 논의
교육비평
2021 .11
대학교육의 법체계와 사립대학법의 제정
법과사회
2022 .02
일본의 사립대학 거버넌스 개혁에 관한 고찰
교육법학연구
2019 .01
헌법재판소의 독립성 증진에 관한 소고 - 헌법재판소 구성방식의 원리적 문제를 중심으로 -
원광법학
2023 .03
평생교육시대 고등교육의 역할과 단계적 교육방법의 모색: 독서교육을 사례로
교양학연구
2022 .04
국립대학교의 대학평의원회 설치와 관련한 헌법적 문제
세계헌법연구
2019 .01
교육기본권 관련 헌법재판소 주요 판례의 해석과 쟁점
한양법학
2016 .11
헌법재판소에 대한 견제 - 감시자를 감시하는 방식에 관한 고찰 -
법학연구
2019 .09
「대학교육」(1983년~2021년) 게재문 내용 분석
고등교육
2021 .12
헌법재판 30년과 노동권 보장
저스티스
2019 .02
사립대학의 자치 실현을 위한 법적 규제 완화 방안
교육법학연구
2017 .01
고등교육 내 인성교육의 위상과 개선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성교육연구
2017 .12
지방사립대학의 위기와 대학정책
지역사회연구
2021 .06
대학평가 개선을 위한 고등교육 데이터 분석 연구
[KEDI] 연구보고서
2015 .01
초중등 사회과교육에서 헌법교육에 관한 비판적 고찰
법과인권교육연구
2019 .01
지역사회의 참여를 통한 지방사립대 공영화의 공익적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부패학회보
2021 .09
사교육 규제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 논리 분석
교육법학연구
2018 .01
미래 고등교육의 동향과 한국 대학의 모습 - 고등교육 환경 변화와 대학의 새로운 역할: 사회와의 융합
대학교육
2015 .01
정치‧선거분야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초기 결정 분석 및 평가 — 구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제34조의 위헌심판 사건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2018 .01
초‧중‧고 헌법교육의 범위와 계열성 분석을 통한 현황 탐색 - 2015개정 사회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법교육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