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전지구 해양-해빙결합모형과 SRES A1B 시나리오 기반 동아시아 해수면 미래 변화 전망
한국연안방재학회지
2021 .10
한반도 서해안의 후기 홀로세 해수면 변동 곡선에 대한 검토
자원환경지질
2018 .01
CMIP5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미래 해수면 상승
대기
2018 .03
해수면 상승과 지구 질량 중심 이동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2 .10
고환경 변화 복원을 통한 전기 홀로세의 서해안 해수면 변화 예비 연구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7 .10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새만금 방조제 해수면상승 연구
한국연안방재학회지
2022 .01
홀로세 초기동안 서해에 나타난 수백 년 단위의 해수면 변동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8 .10
거제도 연안퇴적물에 기록된 후기 홀로세 해수면 변동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6 .10
극 운동을 활용한 해수면 변화(1992-2016)의 이해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4 .10
홀로세 해수면 상승에 따른 포항 영일만의 층서 진화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2 .10
New diagnostic sea surface current fields to trace floating algae in the Yellow Sea
극지연구소 초록집
2024 .07
Impact of Sea Ice Melting on Summer Air-Sea CO₂ Exchange in the East Siberian Sea
극지연구소 초록집
2023 .07
조석이 지배적인 해역에서 가능최대해면고 산정
한국연안방재학회지
2017 .01
Holocene sea level and paleoenvironment change of the Nakdong River, Korea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5 .10
해수면 상승의 대륙별 기여도 재추정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7 .10
HadGEM2-AO 기반의 빙상과 빙하에 의한 미래 해수면 변화 전망
대기
2019 .11
Mid- to late-Holocene relative sea-level changes recorded in macrotidal flat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6 .10
Mid to late Holocene sea level fluctuations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Korea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5 .10
Monthly and seasonal variations in the surface carbonate system and air-sea CO₂ flux of the Yellow Sea
극지연구소 초록집
2023 .07
지구온난화 제한목표에 따른 해수면 상승 및 영향요인의 미래전망 분석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1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