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민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연구센터) 김철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연구센터) 장찬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연구센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해양과학과)
저널정보
한국연안방재학회 한국연안방재학회지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8권 제4호
발행연도
2021.10
수록면
281 - 286 (6page)
DOI
10.20481/kscdp.2021.8.4.28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o project the future sea level rise in the East Asian Seas due to global warming, regional sea level variations are downscaled from three climate system models (GFDL-CM2.1, ECHAM5/MPI-OM, MIROC3.2(hires)) using a global ocean-sea ice coupled model with non-Boussinesq approximation. Based on the SRES A1B Scenario, the projected ensemble mean sea level rise (rate of rise) for the East Sea,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from 1995 to 2050 is 15.60cm (2.84mm/year), 16.49cm (3.0mm/year) and 16.43cm (2.99mm/year), respectively. With the inclusion of the future change of land ice melting and land water storage, the mean sea level rise (rate of rise) increases to 33.55cm (6.10mm/year) for the East Sea, and 34.38~34.44cm (6.25~6.26mm/year) for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The present non-Boussinesq ocean model experiment shows that the future sea level rise in the East Sea is mainly due to the steric component changes by heat content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future sea level rise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appears to be mainly associated with the non-steric component change by water mass convergence.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