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Socialism, Capitalism’s Inescapable Other
Colonial-Age Socialism in Korea
North Korea and the Global Socialist Century
Anti-Marxist Censorship, Colonial and Post-Colonial
“Reformist Parties” and the South Korean Social-Democratic Tradition, the 1950s to 1960s
From the Extremes of Oppression to the Rebirth of the Grassroots Left, the 1970s to 1980s
The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2000–2008) Experiment and its Lasting Influences
Working-Class Fragmentation and the Limits of Political Socialism in South Korea
Socialism as the Main Counter-Hegemonic Narrative and the Source of Dynamism in South Korea
Socialism as the Continuity of Struggle against the Logic of Accumulat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강유위의 대동사상의 사상적 함의와 중국적 사회주의의 현대화의 연관성
중국학
2017 .01
사회주의 중국의 문예정책과 영화비평의 정치학
중국문화연구
2020 .05
‘유가(儒家)’와 ‘사회주의’는 결합할 수 있는가?
중국문화연구
2022 .08
한국 사회 속에서 기독교사회주의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
피어선 신학 논단
2023 .08
경제 민주화 담론의 몰락과 노동자 정치 언어의 파국 : 1960년대 민주사회주의 담론의 정치적 의미
코기토
2016 .02
채만식과 사회주의 - 1930년대 소설 및 희곡 작품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
2024 .12
Divorce and Family Preservation in North Korean Reality: Reassessing the Public/Private Divide in Our Style Socialism
Korea Journal
2025 .03
조지 오웰의 사회주의 : 토리 무정부주의와 민주적 사회주의
역사와경계
2016 .09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 식민지 조선의 노동문제 인식 변화와 ‘계급투쟁론’의 형성과정 - ‘生(life)’·‘文化(culture)’개념을 중심으로 -
역사학보
2021 .06
폴 틸리히의 종교사회주의에 관한 연구 ― 개신교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조직신학논총
2015 .01
“They Are Under Our Influence”: North Korea and the Socialist Mass Party (1960-61)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7 .11
조지 오웰의 정치사상 형성과정 연구 - 토리 아나키스트에서 윤리적 사회주의자로 -
신영어영문학
2021 .11
산수 이종률의 사상형성 과정과 민족혁명·인간혁명론 - 『現代政治路線批判과 그 新方向: 革命 「正展開」 캄파 組織의 提訴로서』를 중심으로 -
역사학보
2021 .12
Remains of Socialism: Memory and the Futures of the Past in Post- socialist Hungary by Maya Nadkarni (review)
REGION
2021 .07
Mediation Diplomacy of a Critical Stakeholder: South Korea's Role in the U.S.-DPRK Negotiation
Korea Observer
2024 .03
‘규제적 원리’로서의 사회주의 - 짐멜의 사회주의론 -
시대와 철학
2019 .01
‘민주사회주의’의 유령과 중립통일론의 정치학 : 1960년대 김수영·신동엽 시의 정치적 무의식에 대하여
로컬리티 인문학
2017 .04
문학·이데올로기·정치 -옌롄커(閻連科) 작품 및 그에 대한 비평 엿보기
공존의 인간학
2022 .01
사회주의가 북한 어민의 풍습과 노동관행에 미친 영향
사학연구
2015 .06
데탕트와 한반도, 실현되지 못한 제3의 길
역사비평
2018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