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제기
2. 새로운 사회 위험 관리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3. 우리나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현재
4. 디지털 전환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외연 확장
5. 결론에 대신하여: 보편적 사회 위험 관리 전략으로서 ALMP의 가능성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Why Are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Underdeveloped in South Korea?
한국정치학회보
2015 .12
OECD 국가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여성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여성경제연구
2023 .04
덴마크 적극적 노동시장정책(ALMP)의 실용교육 기제 탐색: 유연안전성 모형의 변환 사례
스칸디나비아 연구
2021 .01
15만 명 해고됐는데 ‘완전 고용’?… 미 노동 시장에 무슨 일이
한경BUSINESS
2023 .02
OECD 국가의 유연안정성 및 유형별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의 조합과 이행기 청년비정규직에 대한 비교연구: 한시적 근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023 .03
노동시장 변화와 노동자 집단 내 일자리 위험의 차별적 인식: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가 불안정 노동에 미친 차별적 위험
산업노동연구
2023 .02
언제까지 돌봄노동을 이리 대우할 건가
[SOKO] 소셜 코리아
2022 .06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의 방향에 대한 소고
한국사회정책
2021 .12
대구광역시 고용노동정책 분석과 함의
대구경북연구
2022 .03
법철학적 사색을 통한 노동의 재구성
홍익법학
2024 .02
유자녀 여성의 숙련 수준에 육아정책, 노동정책,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이 미치는 영향: OECD PIAAC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019 .11
Erratum : OECD 국가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여성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여성경제연구
2023 .04
노동시장 구조개선 논의를 둘러싼 노동정치 환경과 전망
노동저널
2015 .03
노동시장 구조개선의 방향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5 .10
이행노동시장 관점에서의 한국 자영업정책 분석 및 평가
사회과학논집
2021 .01
현 정부의 노동정책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8 .06
주요국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비교 분석
[KIEP] 연구보고서
2019 .12
지역노동시장권 변화와 시사점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24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