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판소리가 문학이었구나”: 핵심의 발견
Ⅱ. “타악기 하나와 가수 하나”: 멜로디 제외와 판소리 음악 형식의 변환
Ⅲ. ‘소리’ 권능의 분산과 댄스 콜라보 : 직접적인 시각성과 소리 공연형식의 변환
Ⅳ. “이것은 친숙하고 매혹적인 ‘듣보잡’이다”: 창조의 방법
Ⅴ. 문화콘텐츠는 흐르고 문학은 남는다: “가장 나종 지니인 것”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날치’의 고전 현재화와 그 참여문화의 스토리텔링 ? 음악 낯설게하기가 가져온 전경화와 그 효과들 ?
온지논총
2021 .01
뮤직비디오 「수궁가」의 불교적 알레고리 연구: 한국 고대의 지혜담과 ‘풍류도’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
2021 .12
전통예술에서 대중예술로: 청중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는 판소리 연행의 새로운 방향
구비문학연구
2016 .01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와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문학치료연구
2017 .04
‘판소리계 소설’ 개념 재론
인문과학
2016 .01
박동진 명창의 삶과 현대 판소리사에서의 위상
무형유산
2019 .01
판소리의 생성·향유와 지역성
어문연구
2016 .01
판소리의 대중화를 통한 힐링과 복지
국어문학
2015 .02
판소리에 나타나는 서민음악과 선비음악의 융합 양상
온지논총
2018 .01
판소리 세계화의 궤적 :1960~1990년대 해외 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2 .12
19세기 수궁가의 더늠 형성에 관한 연구
공연문화연구
2018 .01
한국어문화교육에서 문화콘텐츠 판소리의 가치와 교육적 의의 연구 - <서도밴드>와 <이날치>의 예를 중심으로 -
한국문예비평연구
2024 .03
동아방송(DBS) 판소리드라마 연구
구비문학연구
2017 .01
판소리 공연의 기획·연행·감상의 역학 - 2023 전주세계소리축제, 월드판소리페스티벌, K-VOX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2024 .02
전북지역의 판소리 전승현황과 발전방안
무형유산
2017 .01
[서평] 판소리 형성기 문화적 생태계에 대한 탐험적 고찰 -『 판소리문화사』(김현주, 민속원, 2022) -
공연문화연구
2024 .08
잔혹소리극 <내다리내놔>의 가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고찰
공연문화연구
2016 .02
창작 판소리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고찰− 창작 판소리 <사천가>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과 문화
2015 .01
새 자료 「半萬年歷史歌」의 特徵과 意味
어문연구(語文硏究)
2024 .06
판소리 〈적벽가〉와 뮤지컬 〈적벽〉의 공연예술적 재현 방식과 의미
우리문학연구
2023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