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은지 (건국대학교) 권오정 (건국대학교) 양건희 김서연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30권 제2호(통권 제145호)
발행연도
2021.4
수록면
15 - 28 (14page)
DOI
10.14774/JKIID.2021.30.2.01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lanning direction of public permanent rental housing unit based on living behavio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upply status and floor plan of 225(about 210,000 units) public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es, and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to figure out behavior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ult of the survey is that currently supplied public permanent rental houses have more than 2 rooms in a small space so that the space of entrance and bathroom becomes smaller. Moreover, the larger the area for exclusive use increases, the bigger the increase range of main bedroom is, however, the increase ranges of bathroom and entrance aren’t affect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adequate floor plan of public permanent rental housing and expand the area of unit space so that the disabled can live independently. Considering single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or couple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e optimum area for exclusive use of public permanent rental housing as 37.29㎡ and 1DK floor plan. In addition, it suggests entrance to be 3.29㎡, main bedroom to be 14.19㎡, bathroom to be 5.10㎡, kitchen/dining room to be 13.85㎡.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영구임대주택 평면구성 분석
4. 장애인 일상생활행위를 고려한 영구임대주택 단위세대 공간계획 제안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