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진미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성미애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저널정보
가정과삶의질학회 가정과삶의질연구 가정과삶의질연구 제39권 제2호(통권 제162호)
발행연도
2021.6
수록면
1 - 14 (14page)
DOI
10.7466/JFBL.2021.39.2.1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acceptance of cohabitation among young adult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and acceptance of cohabitation and marriage intention. Using online survey data of 446 young adults aged 25 to 39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we conducted descriptive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OLS regression,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one out of ten young adults have been in cohabiting living situations. This study measured cohabitation attitudes by asking how strongly the respondents would agree on three types of cohabitation. We found that acceptance as a marriage process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cohabitation as marriage alternative and acceptance of partner’s previous cohabitation. The cohabitation experience and attitudes were related to gender, age, and child-related values. Cohabitation experience was not associated with marriage intention but cohabitation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rriage intention of young adults.

목차

Abstract
I.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5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