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지석 (대구한의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32권 제3호
발행연도
2021.6
수록면
127 - 135 (9page)
DOI
10.6107/JKHA.2021.32.3.12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4)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space users would feel interior space, the sum of floor, wall, ceiling and finishing on each part totally and synthetically. Spatial users can feel space by finishing and lighting. Changing lighting color can give space users various sense of space. However if each person uses same space, each person would have finishing material preference. And each person can feel sense of space differently. In this study, according to finishing material preference and changing lighting color, how sense of space is different. The results as follows: 1) sense of space in each lighting color can be felt according to finishing material preferences. 2) red lighting color has negative sense of space except ‘clear’ chosen by concrete finishing material preference-person 3) cool white lighting color sometimes has negative sense of space as ‘heavy’, ‘abnormal’ by wood finishing material preference-person, ‘hate’ by concrete finishing material preference-person and ‘closed’ by glass finishing material preference-person.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재료선호에 따른 조명색변경에 대한 공간감 변화
V.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