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우정아 (포스텍)
저널정보
현대미술사학회 현대미술사연구 현대미술사연구 제51집
발행연도
2022.6
수록면
81 - 112 (32page)
DOI
10.17057/kahoma.2022..51.004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1999년 미국 뉴욕주 퀸스 미술관에서 열렸던 전시 《글로벌 컨셉추얼리즘: 그 다양한 발원점들, 195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한국의 미술계에서 개념미술과 개념주의가 정의된 과정과 그 전개의 양상을 살펴본 연구다. 《글로벌 컨셉추얼리즘》에서 한국 섹션은 민중미술의 대표적인 평론가 성완경이 맡아 독자적으로 기획했다. 성완경은 ST 조형미술학회의 작가들과 민중미술 계열의 작가들을 포괄해 1980년대 이후, 개념미술과 한국적 모더니즘의 형식주의적인 양상을 지속해서 비판했던 입장으로부터의 변화를 드러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동시대 미술에서 개념주의이거나 개념미술이라고 불렸던 광범위한 흐름이 정의와 재정의, 비판과 재평가를 겪었고, 그 과정에서 민중미술 또한 개념주의로의 편입을 통해 쇄신을 모색했던 과정을 잘 드러내 준다. 본문에서는 우선 《글로벌 컨셉추얼리즘》을 중심으로 개념미술과 개념주의의 맥락을 국내외로 나누어 살피고, 과연 ST의 활동과 민중미술에서 어떠한 성향이 개념주의로 재정의됐는지 분석했다. 《글로벌 컨셉추얼리즘》의 한국 섹션은 정치적 의식과 예술적 양식을 결합한 개념주의를 통해 민중미술과 모더니즘의 분열을 재고하고 동시대 미술의 방향을 타진하기 위한 시도였으나, 그 과정에서 ST와 민중미술은 ‘개념미술’과 ‘개념주의’로 양분된 틀에 맞춰 재단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정치적 미술의 가능성에 대한 이와 같은 시도는 2000년대 ‘포스트-민중미술’의 등장과 새로운 현실주의의 가능성을 둘러싼 담론으로 이어져,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추구하는 동시대 미술의 보편적 정의로 이어졌다.

목차

Ⅰ. 서론
Ⅱ. 《글로벌 컨셉추얼리즘》의 맥락과 비판적 수용
Ⅲ. 《글로벌 컨셉추얼리즘》과 한국의 개념미술 혹은 개념주의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609-001527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