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민경 (부산연구원)
저널정보
부산연구원 BDI 정책포커스 BDI 정책포커스 제401호
발행연도
2021.9
수록면
1 - 16 (1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 부산을 비롯한 세계 주요 도시들이 적극 추진 중인 ‘15분 도시’의 핵심은 기초생활시설의 근거리성 강화와 서비스 거리 단축을 통한 시민 삶의 질 향상

□ ‘15분 도시 부산’은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되는 문화권 보장과 ‘문화서비스 거리’ 단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반드시 필요

□ 부산시 문화시설의 문화서비스 거리를 분석해 문화권 보장과 ‘15분 도시 부산’의 실현에 효과적으로 기여

□ 부산 문화서비스 거리 분석 결과 광역단위 거점문화시설 대다수(공공도서관, 공연장, 박물관 등)는 차량으로 15분 이내, 마을단위 생활문화시설 중 작은도서관, 지역서점은 걸어서 15분 이내 이용 가능한 편이나 구·군별 격차가 존재

□ 문화권 보장을 위한 ‘15분 도시 부산’의 과제로 (1) 문화서비스 거리 격차 완화와 문화시설 확충, (2) 부산시 최적 문화서비스 거리 기준 설정과 실행 강화, (3) 기존 문화시설 활성화 전략 수립, (4) 문화서비스 디지털화 추진, (5) 문화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을 통한 맞춤형 문화서비스 제공이 필요
[그림은 본문 참조]

목차

[표지 및 목차]
[요약]
[Ⅰ. ‘15분 도시’, 시민 삶의 질 향상의 새로운 방향
1. 도시별 접근 방식은 다양하나 ‘15분 도시’의 핵심은 삶의 질 향상
2. 15분 도시, 가까이에서 내가 일하고 살고 즐기는 곳
[Ⅱ. 문화권과 문화서비스, ‘15분 도시’ 실현의 핵심
1. 문화권, 시민 행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보장되어야 할 기본 권리
2. 문화서비스,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생활서비스
3. ‘문화서비스 거리’ 분석, 15분 도시의 효과적인 실현에 필요한 새로운 방식
[Ⅲ. 부산시 문화시설의 문화서비스 실태]
1. 문화서비스 거리를 ‘거점문화시설’, ‘생활문화시설’로 구분해 산출
2. 광역단위 거점문화시설 대다수는 차량으로 15분 이내 이용 가능
3. 마을단위 생활문화시설 중 작은도서관과 지역서점은 걸어서 이용 가능
[Ⅳ. 문화권 보장을 위한 ‘15분 도시 부산’의 과제]
1. 15분 도시, 문화시설 확충의 주요 기준으로 문화서비스 거리 적극 활용
2. 부산시 최적 문화서비스 거리 기준 마련 및 실행 강화
3. 새로운 문화시설 확충 논의와 함께 기존 문화시설 활성화 전략 수립 ‘필수’
4. 문화서비스 디지털화 추진으로 문화시설의 물리적 서비스 거리 보완
5. 문화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으로 맞춤형 문화서비스 제공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