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자오천천 (부산대학교) 팡이 (부산대학교) 옌리쥔 (부산대학교) 김동식 (부산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제33권 제2호
발행연도
2021.11
수록면
97 - 100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recent residential culture has been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condominiums, which are common housing in the form of collective living. As the number of high-rise public housing is increasing, the balcony, which is the only buffer from the outside space, is gradually becoming a service area to expand the limited space. The balcony of a condominium is the only private external space that can be bordered separated by the outside of a high-rise condominium, 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a residential building that links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improves living conditions. Therefore, balconies are important in improving the comfort of living environment as well as satisfying spiritual and psychological needs. China and Korea have shared a history of frequent cultural exchanges since ancient times, but each country’s living culture has its own characteristics, so it can be considered that this will have a clear impact on the planning and utilization of balcony spac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분석 틀
Ⅳ. 사례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