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Metaverse)는 스마트폰을 이은 세 번째 IT 혁명으로 다가오고 있다. 메타버스는 단순히 잠시 지나가는 트렌드가 아니다. 단순한 혁명이 아니라 새로운 문명으로 불러야 할 정도로 거대하고 빠른 변화가 우리를 휩쓸고 있다. 과거 중세시대 향신료가 가져온 문명의 혁신처럼 메타버스도 세상을 뒤흔들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될 것이다. 메타버스는 지금까지 우리가 겪어본 경험이 없는 세계로 우리를 인도할 것이다. 경제, 산업, 사회, 문화 등 우리를 둘러싼 일상생활이 새로운 방식으로 다시 쓰일 것이며, 이제는 단순히 사람들 간의 대화뿐만 아니라 AI와 같은 디지털 휴먼과의 소통도 메타버스를 통하여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MZ세대로 일컬어지는 199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초반에 출생한 현재 기준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세대를 중심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메타버스 인문학 콘텐츠의활용방안과 새로운 플랫폼으로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인문학의 부흥을 주창한다. 대부분의 대학은 교양과정에서 인문학 교과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메타버스를 활용한 인문학 콘텐츠 개발을 살펴보고자 한다. 디지털 전환시대의 총아로 떠오르고 있는 ‘메타버스’를 인문학 콘텐츠 및 고전교육 강화방안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미래의 국가 성장동력으로 ‘메타플랫폼’ 구축을 통한 인문학 교육정책으로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활동하고 있는 아바타와 가상세계에서 거래되고 있는 디지털 이미지(넓게는 상품) 관련 메타버스 콘텐츠의 법적 보호에 관한 논의 및 입법방안을 지식재산권 중심으로 아울러 살펴보았다. 향후 입법과정을 거쳐서 메타버스에서 이루어지는 창작 및 표현물에 대한 권리를 어떻게 정의하고 보호할 것인가에 대한 저작권법의 문제, 메타버스에서 활용되고 있는 아바타(캐릭터)의 지위 및 권리에 관한 법적 보호방안, 캐릭터의 무단 사용 및 변형에 대한 상표법상 또는 부정경쟁방지법상 보호방안, 캐릭터의 퍼블리시티권 보호방안, 메타버스 내 상거래에 대한 적절한 과세 방안, 메타버스 시스템이 해킹될 경우 이용자에 대한 보호방안 등이 국회에서 입법절차를 통하여 ‘메타버스 보호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Metaverse is approaching as the third IT revolution following smartphones. The metaverse is not just a passing trend. A huge and rapid change is sweeping us over, not just a revolution, but a new civilization. Like the innovation of civilization brought about by spices in the Middle Ages, the metaverse will become a new wave of change that will shake the world. The metaverse will lead us into a world we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The daily life that surrounds us, such as economy, industry, society, and culture, will be re-used in a new way, and now, not only conversations between people but also communication with digital humans such as AI will be done on a daily basis through the metaverse. Metaverse, which is widely used mainly in the late teens to early 20s, who were born in the mid-1990s to early 2010s, referred to as the MZ generation, is a new platform based on Metaverse. advocate for the revival of the humanities. Considering that humanities subjects occupy the largest por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t most universities, we will examine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contents using metaverse. In order to use the "Metaverse", which is emerging as a favorite child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s a way to strengthen humanities contents and classic education, and furthermore, to lay the foundation that can be formed as a humanities education policy by building a "meta platform" as a future national growth engine. do. Furthermore, the discussion and legislative measures for the legal protection of metaverse contents related to avatars operating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digital images (broadly, goods) traded in the virtual world were reviewed with a focu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problem of copyright law on how to define and protect the rights to creations and expressions made in the metaverse through the legislative process in the future, legal protection measures regarding the status and rights of avatars (characters) used in the metaverse, In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ve procedures such as protection measures under the Trademark Act or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gainst unauthorized use and transformation, measures to protect publicity rights of characters, appropriate taxation measures for commerce within Metaverse, and measures to protect users in case the metaverse system is hacked The "Metaverse Protection Act" should be prepared through the legislative process in the National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