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허위정보 확산의 진짜 위험
2. 공중은 함께 양질의 여론을 형성할 수 있을까?
3. 여론역량이 발휘되는 정보생태계의 조건
4. 정보생태계 내 허위정보 파이프라인 형성과 여론역량의 하락
5. 허위정보 확산에 동참하는 정보전문가와 여론역량의 하락
6. 숙의 기구에 대한 냉소 확산과 민주주의의 위기
7. 선거 상황에서 여론역량 하락을 막기 위한 정보 확산의 윤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허위정보에 맞서는 그들
방송문화
2020 .12
온라인 허위정보의 규제를 위한 접근법 - 허위정보의 의미와 본질, 규제 방향을 중심으로 -
과학기술법연구
2019 .01
사회적 법익을 침해하는 허위조작정보 대응을 위한 시론적 논의 - 코로나19 관련 허위조작정보를 중심으로 -
언론과법
2021 .04
허위 정보에 속지 않고 대응하는 방법_2022 선거 국면을 허위 정보 극복 기회로
신문과방송
2022 .02
미디어는 어떻게 허위 정보에 속았는가_허위 정보 생태계 속 보도 윤리 확립 필요
신문과방송
2022 .02
북한 허위정보, 어떻게 막을 것인가
북한연구 시리즈
2020 .06
유튜브 상의 허위정보 소비 실태 및 확산 메커니즘 생태계 연구 : 빅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2019 .10
코로나19 가짜뉴스의 유형분석: 허위조작정보의 조작특징을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21 .11
북한 허위정보 확산 현상의 사회심리적
북한연구 시리즈
2020 .06
EU의 외교적 맥락에서 허위정보 대응의 유효성 검증에 대한 연구: 팩트체크를 중심으로
EU학연구
2022 .08
북한 허위정보 확산의 주요 행위자에 대한 심리적 분석
북한연구 시리즈
2020 .06
코로나 시대 공정한 선거를 위한 자유로운 선거운동 방안모색
유럽헌법연구
2021 .12
허위조작정보 규제방안에 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연구 : 새로운 규제의 필요성 및 법적규제 방안에 대한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22 .08
허위조작정보 규제 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홍익법학
2020 .01
허위조작정보 규제 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귀인, 감정, 제3자효과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2024 .11
[세션 ③] 허위 정보와 팩트체크_허위 정보 대응, 사회적 비용 관점에서 대책 세워야
신문과방송
2020 .11
북한 허위정보의 사회적 영향과 대응
북한연구 시리즈
2020 .06
북한의 허위·조작 정보와 대응 방안 연구 - 허위·조작 정보의 개념 정리와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
통일연구
2024 .05
코로나19 전염병 속 가짜뉴스, 허위정보 및 허위조작정보 인식: 질적 탐구
팩트체크 동향리포트 'FACT(팩트)'
2022 .07
허위사실공표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국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디어와 인격권
202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