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와 공산품을 판매하는 판매업자를 대상으로 안전의식 및 안전 관련 행동 사회ㆍ기업ㆍ정부의 안전정책에 대한 인식, 안전정보ㆍ안전교육ㆍ안전정책에 대한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ㆍ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와 공산품판매자 간에는 안전의식이나 안전 관련 행동, 개인이나 사회의 안전에 대한 평가, 안전정보의 요구도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안전교육의 요구도는 판매자가 소비자보다 높았고, 안전정책의 요구도는 소비자가 판매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 소비자지향적 성향이 강할 수록 소비자의 안전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사고경험, 불만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성향, 안전의식수준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안전정보탐색이 적극적이며, 안전의식수준이 높을수록 안전제품구매행동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안전사고경험이 많을수록, 불만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안전정보탐색이 적극적일수록 소비자의 안전실천행동이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판매자가 불만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록 그리고 안전정보탐색 수준이 높을수록 판매자의 안전실천행동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전의식은 안전실천행동에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체로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 소비자주의적 성향이 강한 경우, 안전사고경험이 많은 경우, 불만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성향이 강한 경우, 안전의식이 높은 경우 안전정보의 요구가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소비자의 경우 스스로 적극적인 정보탐색을 하지 않고 안전의식수준이 낮은 경우 정부의 강한 안전정책을 요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o know that consumer safety awareness and behaviors relating safety, recognitions toward safety policy of society, firms, and government, requests for safety information, safety education, and safety policy between consumers and product sellers were different, and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characteristics relating consumer safety. Summary of results of this study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significantly between consumers and product sellers in consumer safety awareness and behaviors relating safety, recognitions toward safety policy of society, firms, and government, requests for safety information. sellers' request for safety education were higher than consumers, whereas consumers' request for safety policy were higher than sellers'.
Second, both sellers and consumers with high level of consumerism had high level of safety awareness.
Third, consumers were more likely to search for safety information when they had frequent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s, high attempt to solve safety problem, high level of safety awareness, in addition, to purchase safe products with high level of safety awareness.
Forth, consumers with frequent experiences of safety accidents, high attempt to solve safety problem, and active safety information search behavior were more likely to follow safety behavior guidance. On the other hand, sellers with high attempt to solve safety problem and active safety information search behavior relating safety followed safety behavior guidance. But,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did not influence in behavior following safety guide.
Finally, overall, both consumers and sellers with high consumerism, frequent safety accidents, high attempt to solve safety problem, and high safety awareness tended to request safety information more. And consumers with lower level of safety information search behavior and lower level of safety awareness were more likely to request safety policy from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