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한인부대의 통합 노력과 자유시참변
3. 대한의용군사의회의 재편 참여와 군정위원 활동
4. 제2차 한인부대 통합 시도와 대한의용군의 해체
5.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유시참변 1주년 논쟁에 대한 고찰
역사연구
2022 .01
제1차 세계대전 시기 제정 러시아의 전시정책과 연해주 한인사회의 대응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2 .08
1차 세계대전 직후 간도 한인 무장단체의 무기 도입 배경과 전략 변화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3 .03
1945~1946년 중국 우한 지역 한인의 수용과 귀환 - 일본군 ‘위안부’를 중심으로 -
역사와실학
2021 .04
제정러시아 한인 사회와 정교학교 교육
재외한인연구
2015 .01
제2차 세계대전기 미군에 종군한 하와이 한인 2세
역사와경계
2021 .03
1차 세계대전 이후 중국 동북지역 한인 무장 단체의 무기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하와이 한인 2세의 연극 공연과 역사적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2 .11
강영각의 언론활동과 하와이 한인사회의 현실 인식 -The Young Korea와 The American Korean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코로나19와 중남미 한인사회: 멕시코와 브라질의 경험
재외한인연구
2022 .02
재태 한인교회 현황
미션인사이트
2016 .02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과 정착과제 연구
재외한인연구
2018 .02
중일전쟁 종전 뒤(1945~1948년) 국민정부의 만주지역 한인정책
대구사학
2016 .01
구술을 통해 본 사할린 한인의 역사와 삶
전북사학
2018 .01
뉴욕 한인 시민단체들의 현황과 활동
재외한인연구
2018 .02
청산리 전투에 참여한 독립군의 구성 : 다양한 출신의 반제노사이드戰
숭실사학
2022 .06
러시아 정교회의 한인 선교와 교육의 사상적 배경과 언어
대동철학
2018 .09
海山 金正黙의 중국 關內에서의 민족운동
대구사학
2020 .01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Making Meaning of Ethnic Enclaves: The Korean Diaspora in the Washington DC Area
재외한인연구
2015 .01
1930~40년대 申基彦의 在中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7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