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대중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NFT 미술시장에 대한 언론기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사회적 인식과 담론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NFT 미술시장에서 어떤 요소가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어떤 맥락에서 사회적 관심과 담론이 형성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NFT 미술시장을 창작-유통매개-수요라는 시장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3월 31일까지 ‘NFT 미술’, ‘NFT 아트’, ‘NFT 작품’, ‘NFT 미술품’, ‘NFT 작가’, ‘NFT 아티스트’, ‘NFT 컬렉션’, ‘NFT 수집’의 8개의 키워드를 제시하여 총 6,148건의 기사를 추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통한 핵심어 도출, N-gram을 통한 의미 연결망 분석, Concor를 통한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메타버스’, ‘디지털’, ‘발행’, ‘플랫폼’, ‘블록체인’, ‘콘텐츠’ 등 디지털 기술 관련 단어들이 높은 빈도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작가-작품, 예술-작품, 미술-작품 등 전통적인 미술시장과 유사한 연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아울러 디지털-아트, 지속가능-대체불가토큰, 가상-자산 등 NFT 미술작품에서만 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연관관계가 나타났다. 더불어 ‘창작과 작품, ‘유통과 매개’, ‘사업과 시장’, ‘수요와 소비’라는 네 그룹의 군집화를 통해 NFT 미술시장은 자산과 투자 기반의 창작, 유통매개, 수요와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감상의 영역은 배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디지털 및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과 결합한 NFT 미술시장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NFT 미술시장이 가지고 있는 감상과 체험 영역의 취약점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NFT 미술시장이 내포하고 있는 함의점들을 살펴보고 NFT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NFT 미술시장의 발전방향 및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그 동안 저작권 이슈나 기술적 측면에 집중해 온 NFT 연구의 범주를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This thesis studied social percep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the NFT art market, which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since 2021.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text in which NFT became the subject of social interest and discourse, and found out which factors were mainly dealt with in the NFT discussion process. For this, text mining techniques such as deriving key words through frequency analysis, network analysis through N-gram, and cluster analysis through Concor were used. As a result, in the frequency analysis, words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such as ‘metaverse’, ‘digital’, ‘publishing’, ‘platform’, ‘blockchain’, and ‘content’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N-gram analysis, relationships specific to NFT artworks such as digital-art, sustainable-non-fungible tokens, and virtual-assets were found to be important chain relationships. In the CONCOR analysis, four clusters were found: "creation and work," "distribution and mediation", "business and market", and "demand and consumption."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NFT art market is developing into its own specialized field in combin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NFT art market has unbalanced characteristics as it has not yet developed as an object of appreciation. This not on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FT art market, but also reveals its weaknesse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 NFT art market and discusses its prospects. Research on NFT has been mainly focused on legal issues and technical aspects. Accordingly,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se studies to specifically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FT interest through the media. Therefore, this study can be the basis for in-depth research on NFT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