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조철 (산업연구원) 이준 (산업연구원) 박상수 (산업연구원) 남상욱 (산업연구원) 이자연 (산업연구원) 박소희 (산업연구원) 조성재 (한국노동연구원) 장영석 (성공회대학교) 루오스치 (광저우 중산대학교) 왕칸 (중국노동관계학원) 김정진 (한중사회과학학회) 윤성혜 (한중사회과학학회) 서창배 (한중사회과학학회) 장은정 (한중사회과학학회) 추민희 (한중사회과학학회) 김수욱 (한중사회과학학회)
저널정보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0-92-02(1)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21(1)] 주요 산업의 중국 지역별 특성 분석과 시사점
발행연도
2020.12
수록면
1 - 253 (25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the size of the Chinese economy has grown, analysis of the Chinese industry requires not only the overall industry competition situation but also more detailed status of individual industries. In addition to presenting strategies for competition, cooperation, and market entry in terms of the entire Chinese industry, it is necessary to analyz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hinese region of individu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strategy for China based on this. Since the economic size of major Chinese cities is similar to that of large-scale countries, regional analysis of Chinese industry is 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production status, company distribution, consumption market, policy, trade and investment status with Korea by maj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region for major industries such as robots, food, and display. Based on this, Korean companies’ strategies to respond to China and ways to enter the market were explored.
Shanghai is considered to be the top production area for robots and Shandong for food. Anhui and Liaoning are not included in the top 10 in the overall industry, but in the case of robots, they occupy 3rd and 4th places. In the case of food, not only the top production regions, but also the second and third production regions are Henan and Hubei,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verall industry. As for the display, the 1st production region is Guangdong and the 3rd production region is Jiangsu, so it is relatively similar to the overall industrial production pattern, but it is very peculiar that Anhui has large-scale production facilities in the 2nd place.
Through the stud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ajor industries in China, it was found that China is developing rapidly in major industries and that China’s role is being strengthened in new industries. Accordingly, it was concluded that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China by each industry, especially the situation in major regions, and to develop a strategy to respond appropriately. In some industries, Korean companies are being expelled or experiencing sharp declines in sales due to competition with Chinese companies. However, as China is the world’s largest market for most industries and is still growing relatively rapidly, it is an unavoidable task for Korean companies to enter the Chinese market. In particular, in order to enter the Chinese marke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penetrate the market in each region. Marketing is important, but development of products tailored to local characteristics is also required.

목차

[표지]
[머리말]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제1장 연구 개요]
1. 관련 정책 현안과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추진 체계 및 주요 연구 내용
[제2장 중국 주요 산업의 지역별 특성 비교 및 시사점]
1. 주요 산업의 동향 비교
2. 주요 산업의 지역별 생산 특성 비교
3. 주요 산업의 지역별 시장 규모 및 특성 비교
4. 주요 산업의 지역별 무역거래 동향 비교
5. 주요 산업의 지역별 한중 교류 동향 비교
6. 산업별 주요 지역의 특성 비교
7. 우리 산업의 대응 전략 및 대중 진출 방안
[제3장 중국 로봇산업의 지역 연구]
1. 중국 로봇산업의 동향
2. 중국 로봇산업의 지역별 생산 특성
3. 중국 로봇산업의 지역별 시장 규모 및 특성
4. 중국 로봇산업의 지역별 무역거래 동향
5. 중국 로봇산업의 지역별 한중 교류 동향
6. 중국 로봇산업의 주요 지역 특성
7. 우리 산업의 대응 전략 및 대중 진출 방안
[제4장 중국 식품산업의 지역 연구]
1. 중국 식품산업의 동향
2. 중국 식품산업의 지역별 생산 특성
3. 중국 식품산업의 지역별 시장 규모 및 특성
4. 중국 식품산업의 지역별 무역거래 동향
5. 중국 식품산업의 지역별 한중 교류 동향
6. 중국 식품산업의 주요 지역 특성
7. 우리 식품산업의 대응 전략 및 대중 진출 방안
[제5장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지역 연구]
1. 디스플레이산업의 동향
2.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지역별 생산 특성
3.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지역별 시장 규모 및 특성
4.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지역별 무역거래 동향
5.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지역별 한중 교류 동향
6.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주요 지역 특성
7. 우리 산업의 대응 전략 및 대중 진출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332-001608578